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한국인과 원어민 교원의 인식 및 적응 과정

이용수 152

영문명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College English Classes and their Adaptation Proc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신혜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459~47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영어 담당 한국인 및 원어민 교원들이 코로나 19 이전 테크놀로지 활용 온라인 수업에 대한 경험과 테크놀로지교수내용 지식, 테크노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 환경 지원에 대한 두 그룹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들이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수업에 적응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수업이 교양영어 담당 교원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대도시 소재 한 개 대학의 교양영어 담당 교원 37명(한국인 교원 27명, 원어민 교원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들 중 1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설문 응답 자료는 한국인 교원과 원어민 교원의 경험, 인식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온라인 수업 적응 과정 및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한국인과 원어민 교원은 코로나 19 이전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 경험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수 기간 면에서 한국인 교원의 연수 기간이 좀 더 길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테크놀로지교수내용 지식, 테크노스트레스, 교사효능감, 테크놀로지교수 환경 지원에 대한 인식 면에서 한국인과 원어민 교원간의 유의미가 차이는 없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온라인 수업 과정은 좌절->적응->성찰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은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학생들의 저조한 참여와 상호작용 부족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을 습득하고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채널을 열어두는 노력을 통해 온라인 수업에 적응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온라인 수업이라는 변화를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학생과 교수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인간적 유대가 수업의 중요한 요소라는 점과 동료 지원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결론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들에게 어려움을 주기도 하였지만 동시에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자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교수역량을 계발하고, 수업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erms of thei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techno-stress, teacher efficacy, and environmental support. The study also attempts to illustrate how the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have adapted to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how their experience has affected their perceptions about online clas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A total of 37 (27 Korean, 10 native English) faculty memb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twelve of them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responses in the survey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online classes and their perceptions and interviews were coded to illustrate their adaptation process of teaching online class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and native English faculty groups in terms of their online clas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PACK, techno-stress, teacher efficacy, and environmental support. It was shown that the mean scores of TPACK and teacher efficacy were relatively high while their techno-stress was not high. The participants underwent the process of frustration, adaption, and reflection while coping with challenges of acquiring and utilizing technology-based instructional tools in their online classes. Though the participants were forced to adapt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t helped them improve their technological skills and gain new understandings of their own classes and students. Conclusions The online class experience provided the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TPACK and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methods, students’ perspectives, and colleagues’ support. It can be suggested that teachers need to be encouraged and challenged to adapt to new teaching environments through which they can improve their teaching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신혜. (2022).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한국인과 원어민 교원의 인식 및 적응 과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2), 459-479

MLA

김신혜.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한국인과 원어민 교원의 인식 및 적응 과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2022): 459-4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