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마을 연계 기반 제주지역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환경 분석

이용수 1149

영문명
Analysis on the Environment for Establishing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Jeju based on School-Village Associ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문보경(Moon, Bo Kyoung) 강윤진(Kang, Yun Jin) 이인회(Lee, In 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8호, 607~6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와 마을 연계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의 운영에서 나타난 환경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제주지역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의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연구참여자로 교육청 담당자, 중간지원조직 담당자, 제주지역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학교와 마을활동가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틀로서 Hoy와 Miskel(2013)의 학교사회체제모형의 투입요소를 재구성하여 환경적 제약, 인적·물적 자원, 교육거버넌스, 교육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마을교육공동체 구축 방안을 첫째, 교육청과 지자체 간의 수평적 거버넌스의 구축, 둘째,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한 마을교육공동체 계획의 수립, 셋째,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 개선과 교육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제주마을교육공동체 운영으로 제주교육혁신과 교육자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establishing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the Jeju region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from the operation of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villages.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the person in charge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the schools, and village activists as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study, the input elements of the school social system model of Hoy and Miskel(2013) were reconstructed and analyzed into environmental constraint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educational governance, and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plan for establishing the Jeju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establishment of horizontal governance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second, establishment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lan through participation of members, and third, improvement of awareness and education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Jeju education innovation and educational autonomy development by operating the Jeju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ju reg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학교와 마을 연계의 환경적 특성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보경(Moon, Bo Kyoung),강윤진(Kang, Yun Jin),이인회(Lee, In Hoi). (2020).학교-마을 연계 기반 제주지역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환경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8), 607-634

MLA

문보경(Moon, Bo Kyoung),강윤진(Kang, Yun Jin),이인회(Lee, In Hoi). "학교-마을 연계 기반 제주지역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환경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2020): 607-6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