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존분석을 적용한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시점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1419

영문명
Survival Analysis Approach for Student Departure of Freshmen: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정(Eunjung Lee) 송영수(Youngsoo Song) 오수현(Suhyun O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8호, 235~25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해 적시에 대학차원에서의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4년제 사립대학인 S대학교의 2018학년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24개월 동안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도탈락 시점에 대한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중도탈락 확률의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카플란 마이어 생존 함수 곡선을 도출하여 중도탈락 최초 발생 시점과 위험률을 확인한 다음, 콕스비례위험모형 분석을 통해 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대학생활 적응, 교육기관 만족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입학 이후 신입생 기간 동안 중도탈락한 학생의 수는 24개월의 관찰 기간 중 중도 탈락한 전체 인원의 8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중도탈락 위험률이 가장 높은 시점은 2학기가 마무리 되는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 요인의 정서안정성과 대학기관 만족 요인의 전공 교육 내용의 효과성은 중도탈락 시점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생활 적응 요인 중 경제적 여건은 중도탈락 시점을 가속화하는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신입생 중도탈락 징후의 조기 발견 및 선제적인 개입책 적용의 필요성과 신입생의 안정적인 대학생활 및 학업 수행을 위한 정서적, 학업적 영역에서의 지원의 중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개선하기 위해 개입책을 적용해야 하는 적절한 시점과 지원 방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imely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to prevent student departure. To this end, a surviv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freshmen observed for 24 months at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adjustment, and institution satisfaction factors on the timing of student depar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89.1% of the dropouts that occurr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ake place within a year after admission. The highest risk rate of student departure was recorded to be near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While the effectiveness of major educ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have been found to have the effect of delaying the time of student departure, economic condition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celerating the time of student departure. Based on this, it suggested the need for offering preemptive intervention to prevent student departure at a timely manner, and the importance of services on emotion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to help freshmen adapt to university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정(Eunjung Lee),송영수(Youngsoo Song),오수현(Suhyun Oh). (2020).생존분석을 적용한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시점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8), 235-258

MLA

이은정(Eunjung Lee),송영수(Youngsoo Song),오수현(Suhyun Oh). "생존분석을 적용한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시점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2020): 235-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