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소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관련 변인 메타분석

이용수 579

영문명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Educational Alien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서봉언(Seo Bonge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4호, 905~9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실 내 수업 상황에서 일어나는 미시적 관점의 교육소외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소외는 무엇이고, 그와 관련된 요인은 무엇인지 지난 20년간의 국내 연구물을 체계적으로 문헌고찰하고 메타분석하였다. 첫째, 교육소외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업으로부터 소외 또는 이탈하여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부재한 것을 말한다. 둘째, 교육소외와 관련한 변수는 가정 배경에는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의 구조적 결손, 낮은 사회적 자본 등 3 가지, 개인 변인으로 성별, 낮은 자존감, 주의산만, 무기력, 비행 등 5 가지, 학교 및 사회구조적 변인으로 분류장치로서 학교 기능, 높은 수업 난도, 낮은 학교만족 및 소속감, 낮은 학교 내 사회적 자본 4 가지를 도출하였다. 연구자 배경으로 인해 교육소외 학생을 판별하고 선정하는 과정의 편향이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여전히 저소득층 학생, 구조적 결손 가정, 가족의 지지로 대변되는 사회적 자본은 교육소외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한편 교육소외와 개인 변인을 살펴보면, 성별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낮은 자존감, 주의산만, 무기력, 비행 등은 교육소외 학생과 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교육소외와 관련하여 분류장치로서 기능하는 학교제도에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학교 만족과 교육소외는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나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로부터의 지지는 교육소외와 가장 높은 부적 효과크기를 지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and meta-analyzed studies over the past 20 years, focusing on the micro-concept of education alienation especially in the classroom, and what the factors are related to it. First, education alienation refers to the absence of significant interaction due to alienation or estrangement from stud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econd, the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 alienation derived 3 types of the home background, 5 types of individual variables, and 4 types of school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Home background variables were low socioeconomic status, structural defects in the family, and low family social capital. 5 types of individual variables were gender, low self-esteem, distraction, powerlessness, and delinquency. Last, 4 types of school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were school functions, class difficulty, low school satisfaction and belonging, and low social capital in the school. Family social capital represented by the parents’ support, families with structural deficits and low income were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alienation. Looking at individual variables, gender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students who felt alienated from class were related to low self-esteem, distraction, powerlessness, and delinquency. The school that functions as classification mechanism has caused education alienation.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atisfaction and education alienation.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with education alienation. In particular, support from peers was the highest effect siz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교육소외의 개념
Ⅳ. 교육소외의 양상과 관련 변인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봉언(Seo Bongeon). (2020).교육소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4), 905-930

MLA

서봉언(Seo Bongeon). "교육소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4(2020): 905-9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