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수역량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분석과 지원방안

이용수 1461

영문명
Needs Analysis of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ies and Needs for Teaching Competency Enhance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지연(Kang Jiyeon) 송영수(Song Youngs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4호, 931~9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원들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해 교육요구도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여 대학교육 경쟁력 및 수업의 질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대학 교원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3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역량에 대한 분석(대응표본 t-검증, 분산분석,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모델 적용)을 통해 교원 전체 및 계열별 요구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 및 계열별 교수역량의 모든 항목에서 필요수준이 실행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가 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셋째, 전체 교육요구도와 계열별 요구도에서 공통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은 ‘교수법 개발 노력’, ‘학습 촉진자’, ‘교수역량 개선 노력’ 3가지로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교수역량강화 지원방안을 위한 논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원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모두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교수자 스스로도 교수역량이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교원들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로드맵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계열별로 우선시되어야 할 역량강화 교육에 대해 맞춤형의 주도적 방식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교수역량 강화 지원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classes by deriving educational needs through the diagnosis of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and suggesting support measures for strengthening teaching competency. To that end, 225 professors from S University were surveyed and 193 cases of the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competencies, the requirements for all and college majo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quired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xecution level in all categories of teaching competency. Second,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for teaching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majors. Third, the three common priorities for the overall educational needs and the needs of each group were derived: Effort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 Learning Facilitator and Efforts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y . Based on thi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 reinforcement of teaching competenc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is all shown to be low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eaching ability of all professors, indicating that the professor himself recognizes that teaching ability is insufficient. Second, a long-term and systematic road map for strengthening professors teaching cap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customized and leading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that should be prioritized by college maj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support measures for enhancing teaching competenc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연(Kang Jiyeon),송영수(Song Youngsoo). (2020).교수역량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분석과 지원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4), 931-959

MLA

강지연(Kang Jiyeon),송영수(Song Youngsoo). "교수역량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분석과 지원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4(2020): 931-9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