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복잡계에 근거한 공동선 증진 유아교육재정 정책 방향 탐색

이용수 192

영문명
An Exploration of a Directions for Preparing Early Childhood Finance Policy to Promote Common Good Based on Complexity: Focusing on Social Discourse and Competitive Discourse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병만(Kim, Byung-Man) 이강훈(Lee, Kang-H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407~43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복잡계에 근거하여 공동선을 증진하기 위한 유아교육재정 정책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 + 교육 + 재정’을 키워드로 3개월간의 rawDATA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들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키워드 100개를 선정하였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1-mode와 2-mode 매트릭스 데이터셋을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담론은 이해관계자 집단 요인과 정책 및 행정 요인, 유관법령 요인, 사회적 반응 요인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둘째, 담론 실천 분석 결과 정부는 공공성, 투명성, 법적인 학교, 비영리 교육기관, 국고 지원, 유치원 3법 찬성 등의 담론을 보였으며, 사립유치원은 자율성, 전문성, 법상 학교 형식, 민간교육시설, 사유재산권, 유치원 3법 반대 등의 담론을 보였다. 셋째, 경쟁 담론 분석 결과 정부는 공공성과 투명성 담론을 보였으며, 사립유치원은 자율성과 전문성 담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선을 증진하기 위한 유아교육재정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finance policy to promote common good based on complex system. For this purpose, rawDATA was collected with keywords ‘young children + education + finance’ were used based on big data provided by Textom.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words, 10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I-mode and 2-mode matrix datase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discours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could be extracted as the related factors of ‘stakeholder group’, ‘policy and administration’, ‘laws’ and ‘social response’. Second, as a result of discourse practice analysis, the government showed discourses such as ‘public’, ‘transparent’, ‘legal schools’, ‘non-profit institutions’, ‘exchequer support’ and ‘approving kindergarten 3 Act’, while the private kindergarten showed discourses such as ‘autonomy’. ‘professionalism’, ‘formal legal school’, ‘private educational facilities’, ‘private property rights’ and ‘opposing kindergarten 3 Act’.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mpetition discourse, the government showed public and transparency discourse, while private kindergarten showed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discours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ed ways for early childhood financial policy to promote common goo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만(Kim, Byung-Man),이강훈(Lee, Kang-Hoon). (2020).복잡계에 근거한 공동선 증진 유아교육재정 정책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0), 407-438

MLA

김병만(Kim, Byung-Man),이강훈(Lee, Kang-Hoon). "복잡계에 근거한 공동선 증진 유아교육재정 정책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0(2020): 407-4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