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 분석

이용수 744

영문명
An Analysis of Teachers’ Participations in Training Programs for Competency Education: Focused o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상은(Lee Sang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8호, 1377~140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첫째 역량을 반영한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교원 연수 참여 현황, 둘째 참여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인식, 셋째 새 교육과정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와 개선 과제이다. 연구 방법은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역량을 반영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전국 764개교 초등학교 1-4학년, 중ㆍ고등학교 1학년 수업 담당 교사 3,522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연수 참여 현황과 관련하여, 역량교육의 변화에 대한 연수를 받은 교사는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초ㆍ중ㆍ고 전체의 57% 정도였다. 연수 형식별 참여 현황과 관련하여서는 ‘연수기관 중심의 자격ㆍ직무연수’에 참여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연수 내용별 참여 현황과 관련하여서는 총론의 주요 변화, 각론의 내용 체계, 교수ㆍ학습 방법, 평가 등의 영역에서 큰 차이 없이 비슷하게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참여한 연수의 효과성 인식 분석 결과, 교사들은 ‘교내 교사 학습 공동체’의 효과가 가장 크다고 평가한 반면, ‘연수기관 중심의 자격 직무연수’ 형식의 효과가 가장 낮다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에게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시간적ㆍ물리적 여건 부족’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연수의 실질적인 도움 부족’ 등을 꼽았다. 또한 교원 연수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도움이 되기 위한 개선 과제로는 ‘구체적인 교수ㆍ학습 및 평가 사례 제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원 연수 개선 방향을 모색할 때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tasks of teachers’ participations in in-searvice training programs to implement competency education, especially with focus o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To achieve this aim,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current situation of teachers’ participations in training programs to implement competency education, 2) teacher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several types of them, 3) reasons for not participating any types of them and the perception of improvement tasks of exist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online survey. It was conducted to elementary, middle, and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from 764 schools who had implemented competency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A total number of 3,522 teachers’ respons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57% of them particip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main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any kind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was ‘lack of time and unconformity of physical conditions.’ In addi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government’(52.1%) had the highest rate of teachers’ participations compared to other types of them. Furthermore, teachers reported that the effect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school’ was greatest, while the effect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the government’ was the lowest. Finally, teachers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supply of specific teaching and evaluation cases’ as an improvement task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lement competenc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은(Lee Sangeun). (2020).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8), 1377-1402

MLA

이상은(Lee Sangeun).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2020): 1377-14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