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어민 팀티칭 유형에 따른 학습 자료 활용 분석

이용수 199

영문명
Analysis of Learning Materials Use in Different Types of English Team Teach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정실(Hong, Jeong Sil) 김정렬(Kim, Jeong-ryeol)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8호, 103~1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원어민 팀티칭 유형별로 나타나는 학습 자료의 활용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원어민 팀티칭 유형을 원어민 주도형, 공동주도형, 한국인 주도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맞는 수업 영상을 관찰하였으며 한국인 주도형 수업의 경우 2012년에 EBS에서 선정된 우수 초등 영어 수업의 한 영상을 선정하여 관찰하였다. 원어민 팀티칭 유형별 수업 영상을 관찰하고 학습 자료 활용 분석법을 사용하여 교과서, 전자저작물, PPT, 실물자료, 영어동화책, 단어 카드와 같은 학습 자료별 활용 빈도를 수업의 도입-전개-정리로 나누어 사용자, 자료의 내용, 사용목적, 취급방법, 집단별 사용 정도의 범주별로 조사하여 비교하고 그 결과를 교차 분석하여 추론 통계의 결과치를 중심으로 일반화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원어민 주도형 팀티칭에서는 수업 단계별 학습 자료 활용의 양과 활용 시간의 분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둘째, 한국인 주도형 팀티칭에서 그룹별 학습 자료 활용 정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한국인 주도형 팀티칭에서 실시한 소집단을 중심의 다양한 과업 활동 제시는 보다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셋째, 한국인 주도형 팀티칭에서 교과서를 탈피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였다. 교사는 다른 교과와 연계하여 영어 수업을 재구성하였으며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learning materials are used in different types of English team teaching of Korean and English native speakers in primary English classroom. To this end, types of team teaching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NET(native English teacher)-led team teaching, joint-led and KET (Korean English teacher)-led team teaching. Three video clips are selected each representing a different type of team teaching respectively. Using an Analytic Scheme of Learning Materials Use (ASLMU), these class video clips are analyzed for their learning materials like textbook, CD-ROM, PPT, real materials, books, word card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use in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solidation of classes. And the learning materials were analyzed by category of user, content, purpose of use, handling, and degree of use by different groups as well. The results were cross-tabulated and the generalization was attemp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ference statistics. The findings are: First, the amount of learning materials use and time was disproportionate in the development stage without no such use in closing in NET-led team teaching classes. Second, KET-led team teaching showed the highest level of using learning materials in groups. Task-based activities given small groups led to more learner-oriented activities using learning materials frequently. Third, KET-led team teaching also used student-oriented learning materials more frequently outside the realm of the English textbook. Korean English teacher reorganized the English classes better by incorporating other subjects using learning materials found in na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정실(Hong, Jeong Sil),김정렬(Kim, Jeong-ryeol). (2020).원어민 팀티칭 유형에 따른 학습 자료 활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8), 103-126

MLA

홍정실(Hong, Jeong Sil),김정렬(Kim, Jeong-ryeol). "원어민 팀티칭 유형에 따른 학습 자료 활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2020): 103-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