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이용수 292

영문명
Analysis of music textbook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옥주(Lee Ockjoo) 윤지영(Yoon Ji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4호, 335~35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제편의 내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2015년 이후에 발행된 유아음악교육 교재 20권으로, 유아음악교육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교재에 나타난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것을 많이 기술하였으며, 활동의 교육목표는 기술, 태도, 지식의 순으로 기술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의 내용은 이론에서는 음악활동 유형, 누리과정 요소, 음악적 요소의 순으로, 활동에서는 음악활동 유형, 음악적 요소, 누리과정 요소의 순으로 기술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은 음악교육 학자별 교수학습방법의 경우 오르프, 코다이, 달크로즈 순으로, 음악활동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방법은 노래 부르기와 음악 감상하기, 악기연주하기 순으로, 음악활동 자료는 음원, 일상적 자료, 사진이나 그림, 노랫말판 또는 악보, 악기, 도구, 그림악보, 동영상의 순으로 기술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음악교육의 평가는 이론에서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평가, 음악수업에 대한 평가, 교사의 음악교수능력에 대한 평가의 순으로 기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에서는 회상하기와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기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대학 교재 개발의 방향과 교원양성의 실행적 측면에서 보완해야 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ory and practice, focusing on music textbook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music textbook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ublished after 2015, and divided into the areas of purpose and goal, contents of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textbook was to describe the improvement of children s musical ability and the whole person s development. Second, the contents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ere in the order of music activity type, NURI Curriculum element, and musical element, and in activity, music activity type, musical element, and NURI Curriculum element. Thir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s in order of teaching-learning method by music education scholars, in the order of Orff, Kodai, and Dalcroze. Music activity data was in order of sound source, daily data, photograph or picture, lyrics or score,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picture-score, and video. Fourth, the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as in the order of evaluation of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evaluation of music class, and evaluation of music teaching ability of teacher in theo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implication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ractical aspects of teacher train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옥주(Lee Ockjoo),윤지영(Yoon Jiyoung). (2019).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24), 335-357

MLA

이옥주(Lee Ockjoo),윤지영(Yoon Jiyoung).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4(2019): 335-3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