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욘 포세(Jon Fosse) 희곡의 메타텍스트성

이용수 158

영문명
Metatextuality in Jon Fosse’s Plays: Focusing 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송선호(Song Sunho)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9권 6호, 497~52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존재론적 사유와 미니멀리즘 기법의 희곡들로 주목받고 있는 노르웨 이의 극작가 욘 포세의 작품에 나타나는 메타텍스트성을 분석한 것이다.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로 정의되는 메타텍스트성은 텍스트 내부와 외부의 관계를 다층적으로 노출시키는 작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작법의 속성 중 자기반영성에 주안점을 둔 본 연구는 <나는 바람>의 자기반영적 특성을 테마로 다룬 것이다. 텍스트에 가해지는 자기반영은 크게 ‘극중극’과 ‘유희성’의 활용, 그리고 ‘작가개 입’, 이 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작가개입’의 예는 베케트(Samuel Beckett), 핀터(Harold Pinter), 뮐러(Heiner Muller)의 일부 희곡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나는 바람> 역시 이 ‘작가개입’의 유형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작품으로 포세가 선행 작가들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을 텍스트 내부에 깊이 개입시키는 작법을 채택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포세의 개입 방식을 ‘자아분열의 서사’와 ‘진행형 서사’로 파악하여 기술하였는데, 이는 작가가 분열된 두 인물에게 자신을 투영하고, 나아가 자신의 사고와 창작 태도 등을 극에 반영하여 상황을 진전시키는 작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것은 포세 희곡의 메타텍스트성이 앞선 작가들에 비해 반영성이 강하고, 그것이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또 다른 현대적 극작법이라는 사실이다. 과거, 현재, 미래가 혼재된 몽환적 상황에서 인생의 불가해함을 간명한 언어로 묘사하는 포세의 희곡은 데뷔작 <누군가 올 거야> 이후 점진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러한 변화를 전제로 한 본 연구의 결과가 포세의 극작 세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는 향후 연구에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nalyzed metatextuality in plays with ontologistic reason and minimalism techniques by the Norwegian playwright, Jon Fosse. Defined as ‘text for text,’ metatextuality is a writing technique that expo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texts in multifaceted way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echnique,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reflection of . Self-reflection shown in texts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play within a play’, utilization of ‘playfulness’ and ‘author intrusion.’ ‘Author intrusion’ is found in some plays by Samuel Beckett, Harold Pinter and Heiner Muller. also shows ‘author intrusion,’ and it is interesting that Fosse employed the writing technique which he intervened aggressively deeper into the text than preceding authors. In the body, such an intrusion method was described as ‘narration of self-disunion’ and ‘progressive narration.’ This is to develop the story by projecting himself onto the two divided characters and reflecting his own thoughts and creative attitudes into the play. This study revealed that metatextuality in the play by Fosse has stronger reflexivity compared to preceding writers, and which is another modern play writing technique that breaks the boundar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In the dreamlike circumstance whic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oexist, plays by Fosse that describe the incomprehensibility of life with simple and clear words show gradual changes since his debut work, . Based on such chang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the grounds for follow-up studies to investigate his playwriting and discuss the meaning.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자기반영의 유형
3. <나는 바람>의 작가개입 방식
3.1. 자아분열의 서사
3.2. 진행형 서사
4. 나오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선호(Song Sunho). (2017).욘 포세(Jon Fosse) 희곡의 메타텍스트성. 문화와융합, 39 (6), 497-526

MLA

송선호(Song Sunho). "욘 포세(Jon Fosse) 희곡의 메타텍스트성." 문화와융합, 39.6(2017): 497-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