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계몽기 경계자로서의 ‘인력거꾼’과 「운수 좋은 날」의 변주

이용수 316

영문명
A Study on a Rickshaw Man as a Marginal Man and the Variation of the Lucky Day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전은경(Jun, Eun-Ky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9권 6호, 609~64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인력거꾼이라는 전근대와 근대의 경계에 등장한 직업군을 새 롭게 재조명하여 이 직업군을 통해 문학적 연속성과 변이를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이 직업군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근대의 ‘교통’이라는 새로운 도시 구성 체계를 확인하고자 했다. ‘역’ 또는 ‘교통’은 정보의 집산체로 모든 정보가 모이고 이야기되는 곳이다. 이를 위해 조선 시대 후기부터 교통과 관련된 직업군을 살펴보고 그 변화를 통해 ‘인력거꾼’이라는 직업군을 새롭게 발견하고자 했다. 특히 이러한 새로운 직업군인 ‘인력거꾼’이 내러티브를 통해 삶을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삶의 현실을 대화체 서사의 방식으로 풀어내는 것은 그 직업군의 삶을 재현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또한 이는 당대 현실을 또다시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 여기’를 서사화하고 낯설게 함으로써 비판적 정신을 획득한다. 따라서 인력거꾼이 등장하고 있는 대화체 서사물과 근대 단편소설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운수 좋은 날」을 비교하여 그 연속성과 변화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는 소재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서사적 요소, 즉 수사적 차원에서 어떠한 변환 과정까지 살펴봄으로써 문학의 연속성적인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업과 시장 경제가 발달하기 시작한 조선 후기에 한문 단편들 특히 야담 속에 등장하는 교통, 역을 담당했던 인물들을 통한 비판 의식이 근대계몽기로 이어져 왔으며, 이 근대계몽기는 특히 인력거꾼이라는 경계자 인물을 내세워 비판 정신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는 다시 1920년대 식민지 현실 속에서 서사적 아이러니와 서술자의 교차 등의 수사적 장치를 통해 근대소설로 자리매김하며 그 당대의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하고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전통적으로 이어온 하층의 문화와 대화체가 서로 접목되고, 또다시 수사적 장치들이 개입되면서 근대소설로 자연스럽게 변화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ntinuity between premodern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Especially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job type of rickshaw men who were marginal men standing boundary between premodern era and modern era. They were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in the society, but they were also the center and path of contemporary information at that time. The short story written in chinese in late Chosun had got connected to dialogue narrative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Besides the dialogue narratives had related with modern short novels such as the Lucky Day and the Sympathy written by Hyun Jin-gun in the middle of 1920’s. The narratives of job type of rickshaw men had constructed “life making” that had showed criticism of colonized society.

목차

1. 서론
2. 근대계몽기 대화체 서사와 수사적 장치
2.1. 언어유희와 골계적 해학 - 車夫誤解과 車夫對局
2.2. 개인의 내러티브와 삶의 재구성 - 인력거군수작
3. 거울형 서사와 이중적 장치 - 「운수 좋은 날」과 동정
4. 결론 - 근대계몽기 문학의 근대적 가능성과 연속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은경(Jun, Eun-Kyung). (2017).근대계몽기 경계자로서의 ‘인력거꾼’과 「운수 좋은 날」의 변주. 문화와융합, 39 (6), 609-644

MLA

전은경(Jun, Eun-Kyung). "근대계몽기 경계자로서의 ‘인력거꾼’과 「운수 좋은 날」의 변주." 문화와융합, 39.6(2017): 609-6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