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습자 변인의 관계

이용수 429

영문명
A study on the anxiety of reading for Myanmar learn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Myat)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989~101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고급 수준의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가 읽기 수행에서 느끼는 불안 요인을 분석하고, 그 요인들이 학습자 변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자세히 살펴보았다. Satio, Horwitz & Garza(1999)가 개발한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를 바탕으로 2018년 12월 3일부터 2019년 4월까지 총 102명의 학생에게 설문조사하였으며,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읽기 불안은 ‘어휘 및 문법’, ‘자신감 부족 및 부정적 인식 태도’, ‘이해 관련 불안’, ‘문화’의 4개 하위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 중 ‘자신감 부족 및 부정적 인식 태도’ 와 ‘문법 및 단어’ 지식의 부족으로 전체 글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가장 높은 불안 요인인 반면, 타문화를 접하면서 느끼는 불안은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학습자 변인 별로 살펴본 결과 ‘이해’ 와 ‘문화’ 관련 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해관련 불안’ 요인에서 초급이나 고급에 비해 중급 학습자의 불안도가 두드러지게 높았다. ‘문화 관련 불안’은 초급 학습자의 불안도가 가장 높았다. 한편 읽기 흥미, 투자시간, 읽기 능숙도 등이 한국어 읽기 불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 이 연구는 기존에 논의된 바 없는 미얀마인 학습자의 읽기 불안을 밝히고 학습자변인에 따라 읽기 불안의 하위 구성 요인을 보다 상세히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학습자 중심의 언어 교수를 계획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인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대한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bout the anxiety of reading and anxiety of Korean learners in Myanma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1) Depending on the learner s grade and the various learner variables, we looked at some degree of anxiety and how it differed. 2) It also revealed the relevanc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xiety, and explored whether Korean reading anxiety is single. A total of 10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discussed based on a survey on reading anxiety. The collected data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SPSS 25.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 First,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 showed that students from other languages and those from myanmar students felt the most lack of self-confidence and negative perception, word and grammar-related anxiety and misunderstanding related anxiety. On the other hand, cultural unrest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Second, boys are generally more prone to anxiety than girls. In addition, the three groups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 high gra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derstanding and culture-related among reading anxiety, and they confirmed that reading anxiety decreased as the school year rose. Third,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of groups of Korean learners by systematicizing the reading anxiety category of Myanmar learners derived from the above factors analysis, the entire items and sub components of Korean reading anxiety were identified as having a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useful basis for reading for Myanmar learn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먓,(Myat). (2019).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습자 변인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23), 989-1010

MLA

먓,(Myat).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습자 변인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2019): 989-10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