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타당화 개입이 이성관계 갈등 상황에서의 부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2
- 영문명
- The Effect of Validation on Negative-Affect caused by Conflict in a Romantic Relationship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화실(LI HUASH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335~35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타당화 개입이 이성관계 갈등 상황에서 유발된 부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 연구이다. 무선 할당을 통해 타당화 집단과 통제 집단에 배정된 참여자들에게 주어진 시나리오에 몰입하도록 안내하였다. 정서활성화
직후에 처치 전 정서를 측정하고 나서 타당화 집단에는 타당화 반응 처치를, 통제 집단에는 통제 반응 처치를 가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월부터 6월까지 이루어졌고 결과 분석에는 도합 52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처치 후 타당화 집단의 부적 정서는 통제 집단의 부적 정서에 비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기수용의 정도 역시 타당화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성관계 갈등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적 정서의 조절 및 자기수용의 촉진에 있어서 타당화 개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validation on negative-affect caused by conflict in a romantic relationship. Participa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ters of conditions, which were valid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told to immerse themselves in a given scenario. After activating negative emotions, negative-affects were measured. After that, the validation group were treated with validation responses and the control group with control respons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June 2019. 52 participants’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Firstly,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negative-affect. Secondly,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lf-acceptance. In conclusion, validation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methods in reducing negative-affect and increasing self-accepta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육수업컨설팅의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 분석
- 청소년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관계 및 고·저 수준으로 나눈 집단의 대인관계스트레스 연구
-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 동기 및 어려움 분석
- 탈북대학생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다문화시민성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 The Impact of HIIT Program on Self-control and Attention in Middle School Boys
-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 자율성지지, 교사에 대한 만족감 간의 구조적 분석
-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습자 변인의 관계
- 유아생활지도 수업운영 과정과 교육효과에 대한 실행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의사소통학적 분석
- 대학신입생들의 자아정체감,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양가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비수도권 대학생의 스트로크와 학습 민첩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과정중심 EFL 글쓰기에서 동료 피드백 영역에 대한 수준별 학습자 인식 연구
- 중등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관련 심리적 특성 요인 분석
- 대학생의 기초학업역량 중요도-실행도(IPA) 차이수준을 바탕으로 한 학습법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 수면 및 식습관문제가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학습자 중심 수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스마트폰 어휘 앱 활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어휘학습인식과 정의적 요인이 토익 점수 향상에 미치는 영향
- 범교과 문식성 관점의 국어 교과서 제재 활용 다문화 교육 접근 - 2015 개정 6학년 2학기 <피부색깔=꿀색>-
- Effects of Flipped Learning-base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 콜라주를 활용한 청소년의 미술치료프로그램 사례연구
- 유아 유튜버의 놀이 콘텐츠 특성 및 적절성: <보람튜브 브이로그> 채널을 중심으로
- 한국판 보건의료계열 직업 선택 및 간호사 직업 선택 척도의 타당화 연구: 국내 보건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 영아 수학적 탐색활동 지원을 위한 구성주의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싱가포르와 호주의 지리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대안적 방향 고찰
- 초등학생의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 부모의 자기조절력 일치여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정신건강 간의 관계
- 공교육으로서 『한국어 교육과정 』 개정을 위한 일 제언
- 호주 유아교육과정의 세계시민교육 고찰: 한국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미국 초등 교사들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에 관한 인식 및 관점
- 놀이를 통한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동향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에 관한 질적 연구: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여자대학 교육 환경에 대한 재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수도권 A여자대학교 사례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고학력 중년여성 학습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창의적인 문제 해결의 발현 기제에 대한 형태주의 관점의 타당성 고찰
-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 나눔’의 의미와 그 특징
- 간호시뮬레이션을 통한 간호역량 간 구조적 관계분석
- 대학 진로체험학점제의 효과 분석
- 타당화 개입이 이성관계 갈등 상황에서의 부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초등수학에서 도형의 ‘이름 짓기’ 지도 사례연구
- 어린이집 교원의 직급별 정서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 초등교사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진로탄력성이 진로장벽의 매개효과에 미치는 조절효과
- 특성화고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생의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북한 언론 매체 분석을 통한 국어 이질화 양상 연구: 신문, 잡지를 중심으로
- 액션러닝 기반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 불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일반 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학령전기 아토피피부염 아동과 어머니의 모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4년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 내용중심 영어교육 수업 효과 메타분석
- 서울 공립 중학교 영어 교사의 교수 탈동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 가정과 교원양성을 위한 의생활 영역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실생활 과제를 통한 수학영재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요소 분석
- 주민학습문화센터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에 나타난 학습 특성 분석: 평생학습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 어머니우울, 아동기외상, 아동우울과 친구애착 및 청소년기 사이버관계중독의 관계
- 원작과 패러디동화를 활용한 토의와 편지쓰기 통합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도덕교육에서 부정의 의미: 스피노자의 관점
- 대학생 자신의 발현 성인기 특성 인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계열 대학교 진학지도 개선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