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이용수 358
- 영문명
-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Needs about Social Science Knowledge Domai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영의(Yoo, Yung-Eui) 이진희(Lee, Jin-Hee) 김종훈(Kim, Jong-H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587~6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사회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보리치(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둘째,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의 각 항목별로 보았을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내용들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은 유아사회교육의 한 영역으로 사회과학 지식 분야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는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실행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치원 교사들의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인식 제
고와 사회과학 지식 영역의 교육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eachers demands for ‘social science knowledge’ education,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utilizing questionnaires about social scientific knowledge education with 313 kindergarte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ocial scientific knowledge education perceived by the teachers. second, the contents to be considered in the goal, content,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social science knowledge domain were extracted.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each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ocial science knowledge field as an area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but they are not in actual prac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suppor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the social science knowledge domain and support the education of the social science knowledge domai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대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 독일어 2격동사의 통사적 특성
- 학습자의 다양한 해석을 위한 문학 교과서 집필 방향: 시인 백석의 작품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익힘 문항에 대한 오답 분석
- 대학 우수강의 기준으로 보는 교수학습센터(CTL) 강의컨설팅 영역 개선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s Use of Code-switching
- 대학의 역량기반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RSp교육을 중심으로-
- 대학생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통계영역을 중심으로-
- 미취업 청년들을 위한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의 2015개정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비교
- 금융교육에서 거시금융위험 체계 구축방안에 대한 고찰
- 대학의 학생활동중심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과 평가 전략 및 교육적 효과 질적 탐색
- 성격특성과 심리적 탈진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 예비 유아교사의 ‘우연적 발견(세렌디퍼티: Serendipity)’ 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대학생의 시간관과 시간관리 유형에 따른 능동-수동 지연행동과 심리적 특성
- ‘진로’의 의미 탐구를 통한 진로교육 방향 모색
- 스포츠리듬 트레이닝이 중·고등학교 육상 투척종목 선수의 신체밸런스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승리접근경험과 게임 유형이 손실회피에 미치는 영향: 사교성 도박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지능이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시행 하에서 기술·가정 교과의 진로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 탐색: 가정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토론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생태소양에 미치는 영향
-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교실 문화 탐색
- 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박물관 교육 환경 고찰
-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6~8세 아동의 일상생활 말소리에 대한 음소 출현빈도 분석
- 진로관련 음악교육연구의 동향
-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ies)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교수자를 중심으로
- 통합예술교육을 활용한 학교별 맞춤형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 학교체육에서 교사의 지도유형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등 임용시험 과학과 문항 분석: 2001-2018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중국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교육에 관한 연구 -중국 출간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공감의 인지적 요소로서 서사적 사고와 공감 교육의 방향
- 전공 적합성 한자교육 연구: 전공별 한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장학에 대한 사례연구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 수용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잠재집단별 생활만족도,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내용 언어 통합 초등영어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연구
-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 한·중 사범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몰입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의복 폐기에 관한 연구 -경상도 소재 사범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효과 분석: 메타분석 활용
-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수업전문성 발달 탐색: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기업교육에서 역동적 평가모형의 적용: 영어 스토리텔링 교육과정 중심으로
- 네이버밴드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밴드의 놀이적 활용과 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신념과 귀인성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전환학년 과정에 대한 학생의 교육 경험 연구: H 오디세이 학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 학사경고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 고찰
-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과 백워드 수업 설계 방안 탐색
-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신규간호사가 지각한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분석
- 그림책 선정과 그림책 읽기 활동에 관한 유아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비범한 재능을 가진 개인의 능력 발현에 관한 연구 - 피아니스트 손열음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