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이용수 874
- 영문명
- A Study 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xtra-Curricular-Activities Research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림(Lee R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869~8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의 초·중등학교 관련 ‘교과 외 활동’에 대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 개선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총 186건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첫째,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인성교육의 강조와 함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그 명칭을 변경한 2011년 이후로 관련 연구가 급증하였다. 둘째, 학부모나 행정가들의 지원 없이는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점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 연구가 많이 부족한 만큼, 교사가 실제 창의적 체험활동이 운영되는 현장을 미시적으로 기술하는 현장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체성 탐구 연구가 소수인 만큼, 초·중등교육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발전을 위해 관련된 이론적 토대가 더욱 공고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우리보다 먼저 교과외 활동에 대한 연구와 정책을 실행해온 미국 등 서양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
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과 외 활동과 관련하여 행정적 지원을 어떤 방식으로 개선해나갈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of research on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Systematic-Literature-Review was us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1)research topic and problem setting, (2)literature search and collection, (3)literature selection/exclusion criteria setting, final literature selection, literature extraction, (4)literature analysis and results. Final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made. First, since 2011, when the name was changed to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ith the emphasi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researches have surged.
Second, research related to the high school needs to be revitalized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university enrollment rate is high due to frequent screening including comprehensive selection of students. Thirdl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researches on parents and administrator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proper education to
be achieved without the support of them. Fourth, many field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to describe the field where the teacher actually operates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ifth, the theoretical basis for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Six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s of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Seventh, there must be continuous research on how to improve administrative support. In conclusion, research on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at can make students relax, will need to be made
as deeply as the study of school subjects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대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 독일어 2격동사의 통사적 특성
- 학습자의 다양한 해석을 위한 문학 교과서 집필 방향: 시인 백석의 작품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익힘 문항에 대한 오답 분석
- 대학 우수강의 기준으로 보는 교수학습센터(CTL) 강의컨설팅 영역 개선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s Use of Code-switching
- 대학의 역량기반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RSp교육을 중심으로-
- 대학생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통계영역을 중심으로-
- 미취업 청년들을 위한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의 2015개정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비교
- 금융교육에서 거시금융위험 체계 구축방안에 대한 고찰
- 대학의 학생활동중심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과 평가 전략 및 교육적 효과 질적 탐색
- 성격특성과 심리적 탈진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 예비 유아교사의 ‘우연적 발견(세렌디퍼티: Serendipity)’ 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대학생의 시간관과 시간관리 유형에 따른 능동-수동 지연행동과 심리적 특성
- ‘진로’의 의미 탐구를 통한 진로교육 방향 모색
- 스포츠리듬 트레이닝이 중·고등학교 육상 투척종목 선수의 신체밸런스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승리접근경험과 게임 유형이 손실회피에 미치는 영향: 사교성 도박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지능이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시행 하에서 기술·가정 교과의 진로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 탐색: 가정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토론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생태소양에 미치는 영향
-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교실 문화 탐색
- 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박물관 교육 환경 고찰
-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6~8세 아동의 일상생활 말소리에 대한 음소 출현빈도 분석
- 진로관련 음악교육연구의 동향
-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ies)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교수자를 중심으로
- 통합예술교육을 활용한 학교별 맞춤형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 학교체육에서 교사의 지도유형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등 임용시험 과학과 문항 분석: 2001-2018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중국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교육에 관한 연구 -중국 출간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공감의 인지적 요소로서 서사적 사고와 공감 교육의 방향
- 전공 적합성 한자교육 연구: 전공별 한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장학에 대한 사례연구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 수용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잠재집단별 생활만족도,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내용 언어 통합 초등영어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연구
-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 한·중 사범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몰입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의복 폐기에 관한 연구 -경상도 소재 사범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효과 분석: 메타분석 활용
-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수업전문성 발달 탐색: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기업교육에서 역동적 평가모형의 적용: 영어 스토리텔링 교육과정 중심으로
- 네이버밴드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밴드의 놀이적 활용과 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신념과 귀인성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전환학년 과정에 대한 학생의 교육 경험 연구: H 오디세이 학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 학사경고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 고찰
-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과 백워드 수업 설계 방안 탐색
-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신규간호사가 지각한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분석
- 그림책 선정과 그림책 읽기 활동에 관한 유아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비범한 재능을 가진 개인의 능력 발현에 관한 연구 - 피아니스트 손열음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