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이용수 829

영문명
A Study 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xtra-Curricular-Activities Research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림(Lee R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869~89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15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의 초·중등학교 관련 ‘교과 외 활동’에 대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 개선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총 186건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첫째,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인성교육의 강조와 함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그 명칭을 변경한 2011년 이후로 관련 연구가 급증하였다. 둘째, 학부모나 행정가들의 지원 없이는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점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 연구가 많이 부족한 만큼, 교사가 실제 창의적 체험활동이 운영되는 현장을 미시적으로 기술하는 현장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체성 탐구 연구가 소수인 만큼, 초·중등교육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발전을 위해 관련된 이론적 토대가 더욱 공고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우리보다 먼저 교과외 활동에 대한 연구와 정책을 실행해온 미국 등 서양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 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과 외 활동과 관련하여 행정적 지원을 어떤 방식으로 개선해나갈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of research on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Systematic-Literature-Review was us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1)research topic and problem setting, (2)literature search and collection, (3)literature selection/exclusion criteria setting, final literature selection, literature extraction, (4)literature analysis and results. Final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made. First, since 2011, when the name was changed to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ith the emphasi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researches have surged. Second, research related to the high school needs to be revitalized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university enrollment rate is high due to frequent screening including comprehensive selection of students. Thirdl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researches on parents and administrator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proper education to be achieved without the support of them. Fourth, many field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to describe the field where the teacher actually operates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ifth, the theoretical basis for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Six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s of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Seventh, there must be continuous research on how to improve administrative support. In conclusion, research on extra-curricular-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at can make students relax, will need to be made as deeply as the study of school subjects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림(Lee Rim). (2019).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3), 869-895

MLA

이림(Lee Rim). "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2019): 869-8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