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대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이용수 347
- 영문명
-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ncept Clar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바올(Choi Baol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1001~10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4개 대학 홈페이지에 연구참여 홍보문을 게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
생 302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모형은 자료에 적합하였다. 변인 간 직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개념 명료성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이상섭식행동에 정적 영향
을 미쳤다. 자기개념 명료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간접효과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가 문헌과 교육 및 상담현장에 주는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Data from 30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self-concept clarity had negative effect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positive effect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ncept clarity affects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counseling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대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 독일어 2격동사의 통사적 특성
- 학습자의 다양한 해석을 위한 문학 교과서 집필 방향: 시인 백석의 작품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익힘 문항에 대한 오답 분석
- 대학 우수강의 기준으로 보는 교수학습센터(CTL) 강의컨설팅 영역 개선 시사점
-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s Use of Code-switching
- 대학의 역량기반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RSp교육을 중심으로-
- 대학생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통계영역을 중심으로-
- 미취업 청년들을 위한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의 2015개정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비교
- 금융교육에서 거시금융위험 체계 구축방안에 대한 고찰
- 대학의 학생활동중심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과 평가 전략 및 교육적 효과 질적 탐색
- 성격특성과 심리적 탈진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 예비 유아교사의 ‘우연적 발견(세렌디퍼티: Serendipity)’ 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대학생의 시간관과 시간관리 유형에 따른 능동-수동 지연행동과 심리적 특성
- ‘진로’의 의미 탐구를 통한 진로교육 방향 모색
- 스포츠리듬 트레이닝이 중·고등학교 육상 투척종목 선수의 신체밸런스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승리접근경험과 게임 유형이 손실회피에 미치는 영향: 사교성 도박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지능이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년제 시행 하에서 기술·가정 교과의 진로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 탐색: 가정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토론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생태소양에 미치는 영향
-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교실 문화 탐색
- 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박물관 교육 환경 고찰
-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6~8세 아동의 일상생활 말소리에 대한 음소 출현빈도 분석
- 진로관련 음악교육연구의 동향
-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ies)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교수자를 중심으로
- 통합예술교육을 활용한 학교별 맞춤형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 학교체육에서 교사의 지도유형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등 임용시험 과학과 문항 분석: 2001-2018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중국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교육에 관한 연구 -중국 출간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공감의 인지적 요소로서 서사적 사고와 공감 교육의 방향
- 전공 적합성 한자교육 연구: 전공별 한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장학에 대한 사례연구
-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 수용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잠재집단별 생활만족도,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내용 언어 통합 초등영어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연구
-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 한·중 사범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몰입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의복 폐기에 관한 연구 -경상도 소재 사범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효과 분석: 메타분석 활용
-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수업전문성 발달 탐색: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기업교육에서 역동적 평가모형의 적용: 영어 스토리텔링 교육과정 중심으로
- 네이버밴드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밴드의 놀이적 활용과 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신념과 귀인성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전환학년 과정에 대한 학생의 교육 경험 연구: H 오디세이 학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 학사경고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 고찰
-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과 백워드 수업 설계 방안 탐색
-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신규간호사가 지각한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분석
- 그림책 선정과 그림책 읽기 활동에 관한 유아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비범한 재능을 가진 개인의 능력 발현에 관한 연구 - 피아니스트 손열음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