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교육 낙오자에서 대학교수가 된 한 중국인 학자의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Narrative Study of a Chinese Scholar who Became a University Professor from Being Outdated in School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섭소단(Zhandan Nie) 김선주(Seon-Joo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호, 407~42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 중국학자가 학교교육 낙오자에서 학자로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정체성 전환를 어떻게 경험했는지에 대한 심층적 탐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한 남성학자가 실패를 경험해야 했던 학교교육과 대학교육 과정에서 자아를 재건하고 극복할 수 있었던 핵심 동력이 무엇이었는지, 학문적 좌절에 대응했던 경험을 전환이론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직업전환 과정에서의 자아정체성의 재구성에 관한 통찰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는 Schlossberg의 전환 이론을 바탕으로, 서사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한 중국학자가 직업 전환 과정에서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상황, 자아, 지원, 전략 네 가지 측면을 통해 생애 전환 과정에서 어떻게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한계를 돌파하였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학자의 경력개발이 여러 중요한 전환 단계를 거쳤음을 보여준다. 중학교 시험에서 실패한 것부터 최종적으로 박사 과정 지도 교수가 된 것까지 각 단계마다 복잡한 도전과 정체성 재구성이 동반되었다. 한 개인이 학업 실패에 직면할 때의 회복력, 적응 능력 및 사회적 지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학문적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기 학업적 실패자에서 성공적인 대학의 학자로의 전환은 일련의 역동적이고 비선형적인 발전 과정으로 다양한 “사건”과 “비사건”을 경험하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에서는 개인의 가치관 및 직업 목표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과 지위 등과 같은 사회적 맥락과의 연계성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경험이 수반되었다. 학업 좌절은 학문 경력의 실패를 의미하지 않으므로 교육 시스템은 일시적인 결과보다는 개인의 장기적인 잠재력이 개발될 수 있는 정책과 제도 발굴에 주목해야 한다. 학업적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개인적 차원의 심리적, 학업적 지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에서의 실패를 성공의 자원이 되도록 세밀한 제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depth how a Chinese scholar experienced identity transitions in the process of growing from a school failure to a scholar. By analyzing a male scholar's experiences of rebuilding himself and overcoming academic setback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ition theor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reconstruction of self-identity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transition. Methods Based on Schlossberg's transition theory, this study used a narr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process of a Chinese scholar's identity reconstruction during a career transition. Through the four aspects of situation, self, support, and strategy, this study explored in-depth how he effectively utilized resources to break through his limitations during the life transition proces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cademic's career development went through several important transition stages. From failing a middle school exam to eventually becoming a doctoral program supervisor, each step was accompanied by complex challenges and identity reconstruction. This study found that an individual's resilience, adaptive capacity, and strategies for effectively utilizing social support systems in the face of academic failure ar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academic success. 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the transition from adolescent academic failure to successful university scholar was a dynamic, non-linear developmental process involving a series of “events” and “non-event” experiences. This process entailed an assessment of personal values and career goals,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m in relation to social contexts such as social responsibility and status. Academic setbacks do not imply failure in academic careers, and education systems should focus on identify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that allowed individuals to develop their long-term potential, rather than temporary outcomes. This will require not only psychological and academic support at the individual level to overcome academic failure, but also detaile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ocial environment to turn failure into a resource for succes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섭소단(Zhandan Nie),김선주(Seon-Joo Kim). (2025).학교교육 낙오자에서 대학교수가 된 한 중국인 학자의 내러티브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 407-426

MLA

섭소단(Zhandan Nie),김선주(Seon-Joo Kim). "학교교육 낙오자에서 대학교수가 된 한 중국인 학자의 내러티브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025): 407-4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