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머신러닝 기반 지방대학 중도 탈락률 예측 모형 개발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영향 요인 탐색: 2017-2023년 대학 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이용수 7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achine Learning-Based Model for Predicting Dropout Rates in Regional Universities and Exploration of Influencing Factors through Big Data Analysis: Using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from 2017 to 2023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은주(Eun-Ju Baek) 이승형(Seung-H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호, 231~2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15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지방대학의 중도 탈락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중도 탈락률 예측 모형을 개발하여, 대학의 중도 탈락 방지를 위한 실질적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대학 정보공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140개 지방대학의 중도 탈락률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2023년을 예측 기준 연도로 설정하여 선형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랜덤포레스트, 서포트벡터머신, Gradient Boosting Machine 등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머신러닝 기법들은 데이터의 정규성 가정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일부 변수들의 정규성 가정 위배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예측이 가능하였다. 직전 1-2년의 중도 탈락률, 재학생 충원율, 신입생 충원율, 전임교원 확보율, 장학금 수혜율 등을 주요 변인으로 활용하였으며, 각 모형의 예측 성능은 평균절대오차(MAE), 평균제곱근오차(RMSE), 결정계수(R-squared) 등의 평가 지표를 통해 비교 검증하였다.
결과 서포트 벡터 머신(MAE 1.78)과 랜덤 포레스트(MAE 1.83) 모델이 가장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였다. 변수 중요도 분석을 통해 직전 1~2년의 중도 탈락률, 재학생 충원율, 장학금 수혜율 등이 중도 탈락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4년 중도 탈락률 예측 결과, 국립대학은 3-5%, 사립대학은 5-12%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부 사립대학의 경우 10% 이상의 높은 중도 탈락률이 예측되어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중도 탈락 문제에 접근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으며, 정규성 가정에 구애받지 않는 분석 방법을 통해 신뢰성 있는 예측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장학금 지원 확대, 대학 기본역량 진단 지표 개선,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재정 투자 확대, 대학의 자율적 구조개혁 유도 등 구체적인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ropout problem in local universities in depth and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dropout rates.
Methods To this end, we developed a predictive model for the dropout rates of 140 regional universities nationwide, utilizing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from 2017 to 2022. Setting 2023 as the base year for prediction, we applied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uch as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cision trees, random forests, support vector machines, and gradient boosting machines. Key variables used in the model included the dropout rates from the previous 1-2 years, student enrollment rates, freshmen enrollment rates, full-time faculty ratios, and scholarship recipient rates.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each model was compared and validated using evaluation metrics such as mean absolute error (MA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random forest and gradient boosting machine models demonstrated the best predictive performance. Variable importance analysis confirmed that dropout rates from the previous 1-2 years, student enrollment rates, and scholarship rat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dropout rates. Predictions for 2024 dropout rates were 3-5% for national universities and 5-12% for private universities.
Conclusions This study has methodological significance in approaching the dropout problem using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such as expanding financial support for students and strengthening academic adaptation program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호 목차
- 청소년의 교사 및 친구관계와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과학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웰니스의 행복 개념에서 바라본 영유아의 수면과 영양의 의미: 아동건강교육 대학교재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들의 창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 교육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
- 2022 개정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역량 분석 연구: 보건·복지 교과(군)을 중심으로
- 중·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사용 양상 연구: ‘까지’와 ‘만’이 포함된 조사 결합을 중심으로
- 머신러닝 기반 지방대학 중도 탈락률 예측 모형 개발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영향 요인 탐색: 2017-2023년 대학 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일본 유치원 교육과정 지원자료에 나타난 교육과정 실행 비교 분석
- 중장년 재직자가 인식한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 실제 맥락에서의 학습전이에 관한 민속방법론적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 부모와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자녀의 미디어 기기 중독 잠재집단 탐색 및 영향 요인 검증: 자기조절학습 차이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놀이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어 관념적 은유의 종류와 특징: 체계기능언어학의 문법적 은유 이론에 기반하여
- 유아 사회정서발달 지원과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현황
- 농업전문직 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 영향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현업적용도를 매개로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통한 지속발전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계층, 진로지원 행동의 분류와 다문화가정 자녀가 느끼는 진로 장벽 요인 차이 검증
- 코로나19 엔데믹 국면에서 20학번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 수식과 그래프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수열에 대한 이해와 개념 이미지 분석
- 한 공립 중등교사의 IB 연수 참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새로운 교사정체성을 입다
-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국어 수업 실행 연구: 놀이 중심 교육법을 중심으로
- 아동기 및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우울 및 불안, 공격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메타분석적 경로분석: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공손성의 원리에 의한 높임 표현 교육 연구
- 학습지원 밀착 멘티-멘토 만남 프로그램을 경험한 두 예비유아교사의 이야기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국내 연구 동향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공감역량, 임종간호 자기효능감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영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현직 전문상담교사의 업무수행 경험에 기반한 학교현장실습 개선방향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및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유아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매개효과
- 중국 허베이성 무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존중감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Instructor Support on Academic Burnout Among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A Case Study Through the Le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 중·고등학교 축구 팀 운영 형태에 따른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적응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차이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의식으로 조절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 학교교육 낙오자에서 대학교수가 된 한 중국인 학자의 내러티브 연구
- Overexcitability, Grit, and Creative self-efficacy: A Comparative Study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rt Subject Preference
- 대학 AI 활용 교육 연구동향
- 상담심리 전공생의 비교과 경험: G대학교를 중심으로
- 대학(원)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섭식통제상실에 미치는 영향: 외모 거부민감성과 섭식관련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 은퇴를 앞둔 중년 남성의 경험 이야기
-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심리적 소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육과 대학생의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교육 요구도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 그림책 중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영아교사의 놀이 지원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 재한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상담사의 사회정의 옹호 상담 경험 연구
- 이야기치료 기반 학급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가정 교과의 지역사회 연계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준거 개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식생활 행태 관련 요인 간의 관계: 2022~2023년 한국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지속가능한 패션소비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