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역량 분석 연구: 보건·복지 교과(군)을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y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Specialized Practice Courses Curriculum: Focusing on Health and Welfare Career Clust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정(Soo-J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호, 179~1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전문 교과 중 보건·복지 전문 교과(군) 전공 일반 과목(17개 과목)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역량의 현황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건·복지 교과(군) 교육과정 항목(1. 성격 및 목표,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3. 교수·학습, 4 평가)에 반영된 디지털 역량 관련 반영 정도를 EU-JRC(2022)에서 발표한 DigComp 2.2 Framwork를 준거로 하여 교육과정 매핑(curriculum mappong, CCM) 방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 교육과정 항목별로 디지털 역량이 반영된 반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2022 개정 전문 교과 중 보건·복지 교과(군)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역량은 ‘2. 의사소통 및 협업’ 이 26.7%로 가장 높았고, ‘1. 정보 및 데이터 리터러시’(22.0%), ‘3. 디지털 콘텐츠 제작’(18.7%), ‘5. 문제해결’ 역량(18.3%)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 안전’(14.4%)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관련된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결론 향후 예비 직업인들이 보건·복지 분야의 디지털화된 직업 환경에 적응하고 관련된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학습 환경 구축 관련 연구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general major (17 subjects) curriculum among the 2022 revised health & welfare specialized subject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degree of reflection related to digital competency reflected in the health and welfare subject (group) curriculum items (1. personality and goals, 2.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3. teaching and learning, 4 evaluation) was analyzed using the curriculum mapping (CCM) method based on the DigComp 2.2 Framwork announced by the EU-JRC (2022). And the actual reflection cases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method.
Results Among the 2022 revised health and welfare specialized courses, “2.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as the highest at 26.7%, followed by “1. Information and data literacy” (22.0%), “3. Digital content creation” (18.7%), and “5. Problem solving” (18.3%). And “4. Safety” (14.4%) was the lowest, so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related content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nclusions In order for prospective professionals to adapt to the digitalized work environment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and implement the digital capabilities necessary to perform related job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teachers' digital capabilities and research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호 목차
- 청소년의 교사 및 친구관계와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과학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웰니스의 행복 개념에서 바라본 영유아의 수면과 영양의 의미: 아동건강교육 대학교재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들의 창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 교육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
- 2022 개정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역량 분석 연구: 보건·복지 교과(군)을 중심으로
- 중·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사용 양상 연구: ‘까지’와 ‘만’이 포함된 조사 결합을 중심으로
- 머신러닝 기반 지방대학 중도 탈락률 예측 모형 개발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영향 요인 탐색: 2017-2023년 대학 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일본 유치원 교육과정 지원자료에 나타난 교육과정 실행 비교 분석
- 중장년 재직자가 인식한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 실제 맥락에서의 학습전이에 관한 민속방법론적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 부모와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자녀의 미디어 기기 중독 잠재집단 탐색 및 영향 요인 검증: 자기조절학습 차이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놀이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어 관념적 은유의 종류와 특징: 체계기능언어학의 문법적 은유 이론에 기반하여
- 유아 사회정서발달 지원과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현황
- 농업전문직 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 영향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현업적용도를 매개로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통한 지속발전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계층, 진로지원 행동의 분류와 다문화가정 자녀가 느끼는 진로 장벽 요인 차이 검증
- 코로나19 엔데믹 국면에서 20학번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 수식과 그래프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수열에 대한 이해와 개념 이미지 분석
- 한 공립 중등교사의 IB 연수 참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새로운 교사정체성을 입다
-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국어 수업 실행 연구: 놀이 중심 교육법을 중심으로
- 아동기 및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우울 및 불안, 공격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메타분석적 경로분석: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공손성의 원리에 의한 높임 표현 교육 연구
- 학습지원 밀착 멘티-멘토 만남 프로그램을 경험한 두 예비유아교사의 이야기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국내 연구 동향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공감역량, 임종간호 자기효능감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영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현직 전문상담교사의 업무수행 경험에 기반한 학교현장실습 개선방향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및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유아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매개효과
- 중국 허베이성 무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존중감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Instructor Support on Academic Burnout Among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A Case Study Through the Le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 중·고등학교 축구 팀 운영 형태에 따른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적응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차이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의식으로 조절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 학교교육 낙오자에서 대학교수가 된 한 중국인 학자의 내러티브 연구
- Overexcitability, Grit, and Creative self-efficacy: A Comparative Study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rt Subject Preference
- 대학 AI 활용 교육 연구동향
- 상담심리 전공생의 비교과 경험: G대학교를 중심으로
- 대학(원)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섭식통제상실에 미치는 영향: 외모 거부민감성과 섭식관련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 은퇴를 앞둔 중년 남성의 경험 이야기
-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심리적 소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육과 대학생의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교육 요구도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 그림책 중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영아교사의 놀이 지원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 재한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상담사의 사회정의 옹호 상담 경험 연구
- 이야기치료 기반 학급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디지털실천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가정교과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의생활 교육안 개발 및 효과
-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지속가능한 패션소비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식생활 행태 관련 요인 간의 관계: 2022~2023년 한국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