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 차원에서 연결어미가 갖는 필자의 의도에 대한 고찰

이용수 138

영문명
A Study on the Author’s Intention for Connecting-Ending in Text: Columns to be Analyzed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황희선(Hwang Hees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4호, 767~78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차원에서 연결어미가 필자의 의도를 갖는다고 보고, 이를 분석해내는 데에 있다. 먼저 연결어미가 텍스트상에서 응집성과 의도성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van Dijk의 거시구조와 수사구조이론(RST)을 분석 도구로 삼아, 전문가 필자가작성한 논증 텍스트인 ‘칼럼’에서 연결어미가 문맥에서 갖는 역할을 찾고자 하였다. 열 편의 칼럼을 분석한 결과, 응집성이 높은 논증 텍스트에서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을길게 쓰는 문맥은 필자의 숨은 의도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필자는 독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독자를 글의 내용에 끌어들이고자 하는 문맥에 ‘-지만’을 사용하였다. ‘-(으)며’의 사용 양상이 특징적으로 두드러졌는데, 같은 필자라고 하더라도 논증의 초구조를갖는 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반면, 에세이와 같은 내용의 문맥에서는 ‘-(으)며’를 자주 사용하지않았다. 연결어미가 필자의 ‘의도’와 ‘응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어서’와 ‘-니까’와 같은 인과적 표현의 연결어미는 사용되지 않았다. 표면적인 언어 표현으로 자신의 주장을 드러내는 것은 선호하지 않았다. 추후 접속 조사 사용 문맥과의 비교, 대등적 연결어미 사용 문맥의 양적 연구 등을 진행하고자한다. 후속 연구에서 보완하여 보다 신뢰도 높은 결과를 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ee that connecting-ending carries the intentions of the writer at the text level. First, we assumed that the connecting-ending of connectivity carries cohesion and intentionality in text, and we wanted to analyze this. Using van Dijk’s macro-structure and Rhetorical Structure Theory(RST) as an analysis tool, we wanted to find out the role of connecting-ending in the context of “Column,” an argument text written by an expert writer. After analyzing 10 columns, we found out that the context of writing long sentences using connecting-ending in highly cohesive argument text carried the hidden intentions of the writer. I used “-only” to focus the readers’ attention and attract the readers to the content of the article. The use of “-(으)며” was characterized by its distinctive aspect. Even the same writer did not use it in the writing that carried the superstructure of the argument. In the same context as the essay, “-(으)며” was often u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necting-ending of connection could have affected the writer’s “intention” and “cohesion.” The connection of causal expressions such as “-아/어서” and “-니까” was not used. It was not preferred to reveal one’s arguments with superficial verbal expressions. We will conduct a comparison with the context of using access surveys, and conduct a quantitative study of the context by using equivalent connecting-ending. We want to supplement thisin subsequent studies to produce more reliable results.

목차

1. 서론
2. van Dijk의 거시구조와 수사구조이론(RST)
3. 칼럼에 나타난 연결어미의 응집성과 의도성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희선(Hwang Heesun). (2021).텍스트 차원에서 연결어미가 갖는 필자의 의도에 대한 고찰. 문화와융합, 43 (4), 767-782

MLA

황희선(Hwang Heesun). "텍스트 차원에서 연결어미가 갖는 필자의 의도에 대한 고찰." 문화와융합, 43.4(2021): 767-7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