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중가요 가사의 문체적 특징 연구

이용수 833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opular Song Lyrics : Focusing on the breakup songs sung by female singers from 1997 to 2019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신선혜(Shin Sun-Hye) 고혜원(Ko Hye-W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1호, 59~8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대중가요 중 여성 가수가 부른 이별 노래 가사의 문체적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이별에 대한 인식 변화를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1997년부터 2019년까지 이별을 주제로 여성 가수가 부른 대중가요이다. 연구 시점을 1997년으로 선정한 이유는 1996년 7월 음반 사전심의 제도가 폐지된 후 대중가요 가사의 내용과 문체는 그 이전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은 연도별 멜론 차트 100위에 오른 곡 중에 매해 3곡씩 선정하며 총 69곡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종결어미와 형용사를 문체의 기제로 보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을 보면 첫째, 종결어미는 2000년 초반 평서문의 해라체 사용, 2010년 이후 감탄문이 노래 가사에 등장한 것이 특징적이다. 평서문의 해라체와 감탄문이 청자를 의식하지 않는 문장 유형이라는 점에서 과거에 비해 여성이 이별에 대해 스스로의 감정을 직시하고 표현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형용사의 사용 양상을 보면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대 초반까지는 이별에 관련해 슬픈 정서와 반성적 어조를 표현하는 형용사를 사용했으나 그 이후부터는 이별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와 상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노래 가사의 출현을 통해 여성이 이별을 슬프기만 한 대상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과 이별의 원인과 상대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갖기 시작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동일한 화자와 주제를 지닌 대중가요의 시대별 문체적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통해 여성의 이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women’s perception of separation by analyzing the stylistic elements of lyrics of breakup songs sung by female singers between 1997 and 2019. Since the abolition of the preliminary record review system in July 1996, the content and style of the lyrics of popular songs have shown definite differences from the lyrics before 1996.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ree songs were selected for each year from Melon Chart. Thus, a total of 69 songs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final ending and adjectives used. The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final ending used Heara-style of declarative sentences in the early 2000s; exclamatory sentences were most likely to be found in the song lyrics of 2010s. Given that the Heara-style of declarative sentence and exclamatory sentence are not listener-conscious, it can be confirmed that women now are more active in expressing their feelings after the separation compared to the past. Second,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00s, the usage of adjectives in separation songs’ lyrics have changed from a sorrowful sentiment and reflective tones to a positive sentiment and a critical perspective toward the opponent. These changes confirm that women have begun to recognize separation as an opportunity for a new start, rather than a sad ending. They have started adopting a critical view of their opponent and causes of the breakup.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reveal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pop songs under the same gender and theme, thereby confirming the changes in women’s perception of separation.

목차

1. 서론
2. 대중가요 가사와 문체
3. 시대별 대중가요 가사의 문체적 특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선혜(Shin Sun-Hye),고혜원(Ko Hye-Won). (2020).대중가요 가사의 문체적 특징 연구. 문화와융합, 42 (11), 59-81

MLA

신선혜(Shin Sun-Hye),고혜원(Ko Hye-Won). "대중가요 가사의 문체적 특징 연구." 문화와융합, 42.11(2020): 59-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