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도 제헌의회 여성의원의 젠더 의식

이용수 99

영문명
Gender Consciousness of Women Members in the Constituent Assembly of Indi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금표(Park, Kyum-Pyo)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1호, 475~50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인도 제헌의회 여성의원들이 어떠한 젠더 의식을 갖고 있었고, 그 젠더의식이 후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헌의회 공식 기록물과 여성의원들의 자서전, 전기 등을 분석하여 첫째로는 여성의원들의 젠더 의식 형성 배경을 검토했고, 다음으로는 그들이 제헌의회에서 발언한 내용에 드러난 젠더 의식을 분석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들이 인도인들의 젠더 의식에 미친 영향을 검토했다. 여성의원 대다수가 20세 이후에 배우자를 스스로 선택해 결혼했고, 공교육이든 가정교육이든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다. 그러므로 그들은 당대 여성들뿐만 아니라 현재 인도 여성들에 비해서도 자립적인 삶을 살았다. 이것이 여성의원들이 젠더 평등을 확고히 주장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이다. 그러한 젠더 평등 의식을 바탕으로 그들은 헌법이나 법률에 여성을 위한 별도의 규정을 만드는 것에 반대했다. 특히 여성의원 모두 선거권에 있어서 여성을 위한 할당/보류 등의 규정을 만드는 것에 반대했다. 정치·사회적 영역에서 평등을 추구하는 기본 정신에는 남성의원들도 여성들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부 남성의원들은 근대적 젠더 의식이 가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를 드러냈다. 이러한 남성의원들에 비해, 여성의원들은 남녀를 구분해서는 안 된다는 젠더 평등 의식을 분명히 표명했다. 그러므로 당대는 물론 지금의 기준으로 보아도 제헌의회 여성의원들의 젠더 의식은 상당히 진보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제헌의회 여성의원들은 평등한 기회가 보장되면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훨씬 증대되고 여성에 대한 차별 역시 상당히 개선될 것이라는 희망적 비전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독립 이후 인도에서는 여성의 사회 진출 수준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제헌의회 여성의원들이 거부했던 할당제가 다시 거론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원들의 지나친 낙관론에 대해 비판하기도 한다. 그러나 할당제와 같은 배려 정책은 오히려 남녀의 구분을 더 명확히 하여 젠더 평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gender consciousness of the women members of India’s Constituent Assembly. It also examined the impact of their gender consciousness on future generations. For this, the official records of the Constituent Assembly and the autobiographies and biographies of its women members were analyzed. First, the women members’ backgrounds were reviewed. Next, the gender consciousness revealed in their remarks at the Constituent Assembly were analyzed. Finally, their impact on the Indian people’s gender consciousness was considered. The majority of women members of the Constituent Assembly married after the age of 20, by choosing their own spouse. They also received a high-quality education, whether it was public or home educ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y had more independent lives compared to most of their contemporaries, and perhaps even compared to women today. This is a crucial factor that enabled them to make strong arguments for gender equality. On this sense of gender equality, the women of the constituent assembly opposed making separate provisions for women in the Constitution. In particular, all of them opposed the enactment of provisions such as quota/reservation for women in voting. In the essential spirit of pursuing equality in the political and social spheres, the men of the Constituent Assembl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women. However, some men have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revent modern gender consciousness from affecting traditional family relations. Compared to the men, the women of the constituent assembly have clearly expressed a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that men and women should not be separat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gender consciousness of the women members was quite progressive, even by contemporary standards. Women members of the Constituent Assembly had a hopeful vision that if equal opportunities were guaranteed, there would be far more women entering the political world or engaging in social activities. They expecte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o significantly reduce. Unfortunately, since independence, the level of social advancement of women in India has not markedly improved. For this reason, the gender quota system, which was rejected by women members in the Constitutional Assembly debates, is being discussed again.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the women members of the Constituent Assembly were too optimistic.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that the policy of consideration, such as the quota system,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gender equality by making the distinction between men and women clearer.

목차

1. 서론
2. 제헌의회 여성의원들의 젠더 의식 형성 토대
3. 제헌의회에서 표출된 젠더 의식
4. 제헌의회 여성의원들이 인도의 젠더 의식에 미친 영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금표(Park, Kyum-Pyo). (2020).인도 제헌의회 여성의원의 젠더 의식. 문화와융합, 42 (11), 475-504

MLA

박금표(Park, Kyum-Pyo). "인도 제헌의회 여성의원의 젠더 의식." 문화와융합, 42.11(2020): 475-5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