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71

영문명
Effects of the profiles of young children’s school readiness on the classe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first-grade: Apply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고은경(Goh, Eun-K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775~79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학교준비도와 초등학교 입학 후 학교적응의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여, 두 잠재계층 간의 전이비율을 살펴보고, 전이 유형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8차 조사의 아동 1,01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학교준비도의 잠재프로파일 계층 유형은 고수준(63.6%)과 저수준(36.4%)의 2계층으로 구분되었고,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 계층 유형은 고수준(58.2%), 중수준(28.7%), 저수준(13.1%)의 3계층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학교적응 고수준 집단으로 전이된 비율은 학교준비도의 저수준 계층에서 54.3%, 학교준비도 고수준 계층에서 60.4%이다. 학교적응 저수준 집단으로 전이된 비율은 학교준비도 저수준 계층에서 12.0%, 학교준비도 고수준 계층에서 14.9%이다. 셋째, 학교준비도 계층과 무관하게 학교적응의 큰 위험요인은 집행기능 곤란이었다. 또한, 학교준비도의 저수준 계층에서 여아는 남아보다 학교적응의 고수준으로 전이되는데 유리하며, 부모의 관심은 학교적응의 보호요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유아기 교육에서 초등학교로의 연계과정에서 아동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집행기능의 영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교준비도 수준이 낮은 경우에 남아에 대한 지원과 부모의 관심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school readiness in early childhood and school adjustment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examine the transfer rate between the two latent classes, and identify variables affecting transfer type. To this e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010 children from the 7th and 8th surveys of the Korean Children s Pan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in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high (63.6%) and low (36.4%). The types of latent profile adjustment to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high (58.2%), middle (28.7%), and low (13.1%). Second, the rate of transition from the low level of school readiness to the high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54.3%, and the rate of transition from the high level of school readiness to the high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60.4%. The rate of transition from the low level of school readiness to the low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12.0%, and the rate of transfer from the high level of school readiness to the low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14.9%. Thir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school preparation, the major risk factor for school adjustment was difficulty in the executive function. And in the low-level class of school readiness, girls are more likely to be transferred to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an boys, and parental interest tends to be a protective factor for school adjustment. In the process of linking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 of the executive function on children adapting to school life. In particular, when the level of school readiness is low, support for boys and parental attention may b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은경(Goh, Eun-Kyoung). (2020).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5), 775-793

MLA

고은경(Goh, Eun-Kyoung). "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2020): 775-7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