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력학습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른 잠재집단별 집단지성의 차이

이용수 343

영문명
Latent Profile Analysi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eam-efficacy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llaborative learning: Difference in Collective Intelligence by Latent Group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혜윤(Choi, hye-yoon) 이선경(Lee, seon-kyung) 김효원(Kim, hyo-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5호, 961~98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협력학습 수업에서 학습자가 갖는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라 동기유형이 유사한 잠재집단이 도출되는지를 검증하고, 잠재집단별 집단적 지식구성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협력학습은 팀 구성원 간의 상호의존을 전제로 하므로 집단지성이 발휘되려면 적극적으로 팀 과제에 참여하려는 동기 요인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지역 S 대학의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라 3개 집단이 도출되었으며, 1집단은 낮은 동기 집단, 2집단은 중간 동기 집단, 3집단은 높은 동기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1집단과 2집단은 개인 수준의 성취동기에 비해 집단 수준의 팀 효능감이 높았으나 3집단은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이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잠재집단 간 집단지성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한 결과 동기가 높은 집단, 중간 집단, 낮은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협력학습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roups with similar responses us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eam-efficacy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llaborative learning,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collective intelligence by each group. 174 data were collected from S University students in Jeolla Province.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a mixture model, was conducted to classify latent classes by using achievement motivation and team-efficacy scores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del with number of three latent class was selected. Based on each group trait, ‘low motivation group(group 1)’, ‘middle motivation group(group 2)’, and ‘high motivation group(group 3)’ was named to the final Group 1 and group 2 were with higher team-efficacy scores than achievement motivation scores, but Group 3 was all two scores are similarly high.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n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the higher the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ducational imlications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윤(Choi, hye-yoon),이선경(Lee, seon-kyung),김효원(Kim, hyo-won). (2020).협력학습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른 잠재집단별 집단지성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5), 961-981

MLA

최혜윤(Choi, hye-yoon),이선경(Lee, seon-kyung),김효원(Kim, hyo-won). "협력학습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팀 효능감에 따른 잠재집단별 집단지성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2020): 961-9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