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지형도의 변화에 따른 여성민요의 전승과 소통

이용수 132

영문명
Transition in Women’s Folk Songs According to Changes in Cultural Topograph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지애(Park Jia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4호, 11~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민요를 둘러싼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변화하면서 여성민요의 소통과 전승 현장이 어떻게 변화했는가에 대한 구체적 현황을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주군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40여 년의 기간 동안 여성민요의 변모 과정을 살펴 현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성민요의 미래를 전망하고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성주군은 영남 북부권과 남부권의 민요가 보여준 차이를 수용하면서 다양한 창의적 변모 과정을 거쳐 가장 중층적이고 다양한 여성민요의 전승 양상을 보여주는 지역으로서 가치를 갖는다. 그러나 현장 조사 결과, 성주지역의 여성민요는 양적·질적으로 쇠퇴한 모습을 보였다. 20여 종이나 전승되는 민요는 현재 4종 정도만 전승될 뿐만 아니라, 전승되는 사설 또한 기존 사설의 일부이거나 사설이 아닌 간략한 서사 구조 정도만 기억되고 있었다. 칠곡군, 고령군 등 도시화와 근대화의 속도가 비슷한 인접 지역에 비해 성주군의 민요 쇠퇴가 더욱 가속화된 것은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가 발현될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마을공동체가 와해되고 노동방식이 변화한 것은 어느 지역이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인접 지역의 사례를 통해 인위적 장치를 동원해서라도 마을공동체가 구축되고 유지된다면, 그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구성원 간의 노력과 연대로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가 표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주지역은 과거 가장 다양한 여성민요가 전승되던 지역으로서 풍부한 지역문화자원이 내재되어 있는 지역이다. 그리고 현재 마을 공동체를 구성하는 60~80대의 연령들은 과거에 민요를 들었던 잠재적 전승의 가능성이 있는 마지막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를 표출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주는 것, 이것이 여성민요의 현재적 전승과 소통을 가능하게 해 줄 방법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spects how women’s folk songs have changed over time. More specifically, it analyses the characteristic of the folk songs of today’s women. As cultural products, folk songs reveal the creeds and lifestyle of a given traditional community by combin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including age, gender, and status. In addition to personal features such as age and gender, community features such as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ideological background also contribute to the creeds of a performance community. Thus, folk songs can reveal different creeds and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o which they belong, even though they belong to the same gender and social class. Distinguishing the tradition areas of folk songs and considering the creeds of tradition communities within their sociocultural environments can shed light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folk songs. In Central Nakdonggang, the women’s folk songs that were transmitted proved to be multifaceted folksongs that exhibited various creeds as women’s folk songs of various types, including merged types, were being passed on and subtypes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local perception of life realities.

목차

1. 서론
2. 영남지역 여성민요의 권역별 특징과 성주지역의 문화적 가치
3. 전승현장의 변화와 성주지역 여성민요의 현재적 소통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애(Park Jiae). (2020).문화지형도의 변화에 따른 여성민요의 전승과 소통. 문화와융합, 42 (4), 11-32

MLA

박지애(Park Jiae). "문화지형도의 변화에 따른 여성민요의 전승과 소통." 문화와융합, 42.4(2020): 1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