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지형도의 변화에 따른 여성민요의 전승과 소통
이용수 134
- 영문명
- Transition in Women’s Folk Songs According to Changes in Cultural Topography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박지애(Park Jiae)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2권 4호, 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민요를 둘러싼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변화하면서 여성민요의 소통과 전승 현장이 어떻게 변화했는가에 대한 구체적 현황을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주군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40여 년의 기간 동안 여성민요의 변모 과정을 살펴 현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성민요의 미래를 전망하고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성주군은 영남 북부권과 남부권의 민요가 보여준 차이를 수용하면서 다양한 창의적 변모 과정을 거쳐 가장 중층적이고 다양한 여성민요의 전승 양상을 보여주는 지역으로서 가치를 갖는다. 그러나 현장 조사 결과, 성주지역의 여성민요는 양적·질적으로 쇠퇴한 모습을 보였다. 20여 종이나 전승되는 민요는 현재 4종 정도만 전승될 뿐만 아니라, 전승되는 사설 또한 기존 사설의 일부이거나 사설이 아닌 간략한 서사 구조 정도만 기억되고 있었다. 칠곡군, 고령군 등 도시화와 근대화의 속도가 비슷한 인접 지역에 비해 성주군의 민요 쇠퇴가 더욱 가속화된 것은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가 발현될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마을공동체가 와해되고 노동방식이 변화한 것은 어느 지역이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인접 지역의 사례를 통해 인위적 장치를 동원해서라도 마을공동체가 구축되고 유지된다면, 그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구성원 간의 노력과 연대로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가 표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주지역은 과거 가장 다양한 여성민요가 전승되던 지역으로서 풍부한 지역문화자원이 내재되어 있는 지역이다. 그리고 현재 마을 공동체를 구성하는 60~80대의 연령들은 과거에 민요를 들었던 잠재적 전승의 가능성이 있는 마지막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잠재적 전승 상태의 민요를 표출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주는 것, 이것이 여성민요의 현재적 전승과 소통을 가능하게 해 줄 방법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spects how women’s folk songs have changed over time. More specifically, it analyses the characteristic of the folk songs of today’s women. As cultural products, folk songs reveal the creeds and lifestyle of a given traditional community by combin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including age, gender, and status. In addition to personal features such as age and gender, community features such as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ideological background also contribute to the creeds of a performance community. Thus, folk songs can reveal different creeds and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o which they belong, even though they belong to the same gender and social class. Distinguishing the tradition areas of folk songs and considering the creeds of tradition communities within their sociocultural environments can shed light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folk songs. In Central Nakdonggang, the women’s folk songs that were transmitted proved to be multifaceted folksongs that exhibited various creeds as women’s folk songs of various types, including merged types, were being passed on and subtypes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local perception of life realities.
목차
1. 서론
2. 영남지역 여성민요의 권역별 특징과 성주지역의 문화적 가치
3. 전승현장의 변화와 성주지역 여성민요의 현재적 소통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선규의 <빙화>에 나타난 전체주의적 선전의 특성 연구
- 성인 초기 여성의 미래 불안 대처유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교수역량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宋初文禁政策与李煜研究 - 以文学史史料学研究为中心
- The DPRK’s Triple Disaster: Failure of Governance, Flooding, and Drought
- 사회과학분야 박사학위자의 질적 연구 경험
- 자유학기제 실시에 따른 중학생의 민주시민역량과 학교행복감 영향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커뮤니티 언어 기반의 문화 체계 연구
-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에 관한 연구
- 교사의 직업 적성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 뷰티문화융합 교육개발을 위한 현장적용 사례연구
- The Grammaticalization of -(u)l-swu~iss- in Korean
- 과학 담화의 비유 사용에 대한 말뭉치 기반 연구
- 인지언어학에 기초한 2017년 신어의 의미 구성 연구
- 문학과 역사의 융합을 통한 문학 비평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대학 리빙랩을 통한 도시공원의 ‘스피커스 코너’ 운영에 관한 연구
- 안동 현대문학사에서 박종우의 위상
- 충북지역 중학생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을 위한 문화교육 영어과 자료 개발 사례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에 관한 상관성 연구
- ‘대학 1학년 교육’ 질 제고를 위한 기초 분석
- 역사 배경 영화를 활용한 팀기반학습(TBL) 수업 연구
- 20세기 전반기 한국과 일본의 재즈송 비교
- 종교인구 감소의 시대 종교의 스포츠 활용현황과 과제
-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활동만족도가 전공효능감 및 전공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문화지형도의 변화에 따른 여성민요의 전승과 소통
- 자료 찾기와 토의를 활용한 소설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 이호우 문학의 지역성 및 문학콘텐츠로의 가능성 검토
- 근대 라디오방송과 방송극(放送劇)연구
- 뮤직비디오〈This Is America〉의 힙합 정체성
- 목성균 수필의 휴머니즘 고찰
- 옛이야기 그림책 출판 실태와 미래 모색
- 타로카드의 이미지에 관한 지각원리 고찰
- 잠명류(箴銘類) 산문에 드러난 문화 향유 방식과 그 교육적 의미
- R.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에 드러난 음악적 메타포
- 반인간주의 실재론의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자유전공학부 운영 현황 및 학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I 기반 챗봇 한국어 텍스트의 자연어 분석 및 한국어 교육 활용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