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뮤직비디오〈This Is America〉의 힙합 정체성

이용수 456

영문명
Hip-hop Identity in the Music Video〈This Is Americ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도협(Dohyoup Lee) 이한노(Hanno Le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4호, 275~30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힙합(Hip-hop)은 전 세계 대중음악의 주류 장르로 확산하고 있다. 특히 미디어를 통해 오락적인 요소로 표면에 비치는 도식화된 힙합의 이미지와 이름으로 청소년들 사이에 랩을 유행시켰다. 10대를 중심으로 한 팬덤은 음악가의 음악에도 영향을 미치며, 주제의 특성을 변질시켰다. 힙합은 음악 이전에 흑인으로부터 발생한 미국의 하위문화 형태다. 이를 통해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였으며, 사회 비판과 저항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2018년 발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의 뮤직비디오를 분석함으로 힙합의 정체성 확인을 하고자 한다. 뮤직비디오의 의미작용은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과 그레마스의 사각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간 간격으로 구성된 뮤직비디오의 서사 구조를 3가지 분류 기준으로 나누어 각각의 장면에 내재한 의미를 밝혀내는 것으로 힙합의 정체성이 현시대 힙합 음악에도 나타나는 것을 증명한다. 이를 통해 주류의 문화로만 인식되는 힙합의 방향적인 경계를 갖출 수 있으며, 하위문화라는 특성을 통해 이를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영문 초록

Hip-hop is gaining popularity as a mainstream genre of popular music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rap has become popular among teenagers and the image and topic of hip-hop are reflected as elements of entertainment through media. The teen-centered fandom also influences the music of musicians and alt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Hip-hop is a form of American subculture that originated in early black folk music. Through this, the identity of culture was establish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riticism and resistance were developed. In this article, I will confirm the identity of hip-hop by analyzing the music video , which was released in 2018 and became a popular success. The semantic action of the music video was analyzed through theories of semiotics, Such as that of Roland Barthes, and Greimas’ square theory. By divid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music video composed of time intervals into three classification criteria, the meaning inherent in each scene can be reveal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have a directional boundary of hip-hop, which is recognized only as mainstream culture, and reconstruct i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ubculture.

목차

1. 서론
2. 문화 이론적 배경
3. 뮤직비디오 <This Is America>의 의미작용
4. 뮤직비디오 <This Is America>의 힙합 정체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도협(Dohyoup Lee),이한노(Hanno Lee). (2020).뮤직비디오〈This Is America〉의 힙합 정체성. 문화와융합, 42 (4), 275-300

MLA

이도협(Dohyoup Lee),이한노(Hanno Lee). "뮤직비디오〈This Is America〉의 힙합 정체성." 문화와융합, 42.4(2020): 275-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