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478

영문명
A Study on the Cultural Taste of the Audience of Cultural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서문식(Suh, Mun-Shik) 이샛별(Lee, Sae-Beul) 엄성원(Eum, Seong-W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4호, 757~78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은 어떻게 분화(구성)될 수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선행으로 문화적 취향과 계급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주장한 Bourdieu의 문화 자본론을 논의하며, 오늘날 새로운 관점에서 문화적 취향 분류 기준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에 문화공연을 관람한 청중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문화적 취향과 분류에 관한 논의들이 매우 부족하여, 선행연구 및 사전 조사(인터뷰)를 진행하여 수정 및 개발된 설문 문항을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SPSS 23.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은 1)기호성 취향, 2)감수성 취향, 3)향수성 취향, 4)융·복합성 취향, 5)본질성 취향, 6)쾌락성 취향, 7)교육성 취향, 8)대중성 취향의 8가지 요인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오늘날, 문화공연에 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업계에서는 추상적인 만족도 조사보다는 관객 성향, 공연 취향 등 구체적인 조사를 통한 공연제작과 기획이 필요하다. 감정을 공유하고, 감정을 전이하며, 스토리에 공감할 수 있는 공연 개발과 관람 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문화공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술가나 행정가의 역할이 예술성이나 상품성에, 그리고 수익성에 편향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현대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지친 마음과 고갈된 감정을 치유하기 위한 공연 개발이 필요하다. 공연 업계에서는 급변하는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장르 간 융·복합, 기술과 융·복합 공연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것들이 융·복합되고 창작문화공연들이 증가한다고 할지라도, 과하지 않은, 기본기에 충실한, 작가의 의도가 왜곡되지 않은, 원작과 크게 변형되지 않은 공연 개발이 필요하다. 문화라는 정형적인 틀과 관점에서 벗어나 예술가를 포함한 매개자의 노력과 참신한 아이디어, 표현력, 일상의 재미와 즐거움,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공연이 필요하다. 문화공연은 그 특성상 ‘문화’라는 요소의 이해를 필요토록 하기에 학습과 기량에 도움을 주는 교육적 콘텐츠 개발과 공연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마케팅을 해야 하며, 전문적인 작품해설, 공연 및 배우의 특징 설명, 공연 관련 자료, 배우와 관객의 소통 시간 등을 제공하여, 수동적 관람이 아니라 적극적이며 양방향의 공연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상품적으로 장르적으로 문화적으로 접근이 쉬운 공연이 제작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ultural performance audiences’ cultural tastes are differentiated and how they appear, and to present a cultural taste scale. As a scholarly predecessor, Bourdieu’s cultural capitalism, which argued for the existence of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taste and class,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a new perspective on cultural tastes and their classification criteria that would be applicable to modern-day Korean society. In order to facilitate a concrete discussion on that subject, an audience that watched a cultural performance within the last 6 months was surveyed, and an interview with the audience (cultural experts and the general audience)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revised, and then used. The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es, including a frequency analysis. The study’s demographic and viewing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re were 88 women (57.1%) and 66 men (42.9%). Respondents’ ages ranged from 20 to 29 years old, with 66 people (42.9%) in their twenties, and from 30 to 39 years old, with 39 people (25.3%) in their thirties. The respondents with the most advance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131 students (85.1%) who had either graduated from or were attending university at the time of the study. With regard to average monthly income, there were 44 people (28.6%) who made less than 3~5 million won. For occupation, the highest result was 58 students (37.7%). Meanwhile, with regard to marital status, there were 102 single people (66.2%) and 52 married people (33.8%). For favorite genre, the highest result was 39 people (25.3%) who reported plays as their favorite genre. Moreover, companion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69 lovers (44.8%). With regard to the ticket collection method, there were 134 people (87.0%), most of whom paid a fee. Finally, visit frequency was the highest among 82 people (53.2%) who visited more than 6 times. The cultural tast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1) palatable, 2) sensitive, 3) nostalgic, 4) fusion/complexity, 5) essential, 6) pleasure, 7) educational, and 8) popular. Thus, cultural preference was found to be composed of these eight elemen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cultural taste scale that is applicable to modern-day Korean society. The study also indica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as well as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문식(Suh, Mun-Shik),이샛별(Lee, Sae-Beul),엄성원(Eum, Seong-Won). (2020).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에 관한 연구. 문화와융합, 42 (4), 757-788

MLA

서문식(Suh, Mun-Shik),이샛별(Lee, Sae-Beul),엄성원(Eum, Seong-Won).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에 관한 연구." 문화와융합, 42.4(2020): 757-7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