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동 현대문학사에서 박종우의 위상
이용수 31
- 영문명
- Park Jong-woo’s Status in the History of Andong Modern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한경희(Kyunghee Han)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2권 4호, 565~5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지역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소외된 지역문학의 현장을 찾아 발굴하는 일에 목적을 두었다. 중앙문학사에 비해 인적 물적 기반이 부족한 지역문화 현실 속에서도 고군분투한 작가의 자취를 찾아내고 그들의 교류를 확인하여 문학사를 기술할 때 더욱 온전한 문학사를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문학사 서술을 위해 안동지역에서 활동했던 작가와 작품을 발굴하는 일 이외에도 작가들의 활동사항을 잘 정리해서 그들의 역량이 지역사회에 어떤 의미로 작용했는지 살펴본 것이다. 안동에 아무 연고가 없는 박종우가 안동의 현대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갖게 된 것은 단순히 안동고등학교 교사였기 때문이 아니다. 당시 안동은 기성문단에 등단한 작가가 없었고 전쟁이후 폐허가 제대로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작가적 역량이나 문학적 역량이 집중될 환경이 되지 못했다. 박종우가 안동에서 문학적 분위기를 주도하고 만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안동의 현대문학판의 미형성에 큰 이유가 있다고 본다. 안동의 현대문학은 학생동인 중심으로 출발했다는 것은 안동문화의 한 특징을 드러낸다. 박종우의 영향력은 크게 두 가지로 언급한다. <맥향> 동인의 조직과 문예교사로서 시창작 지도이다. 전자는 현대문학이 전무한 안동에도 문학장에 새로운 기운을 불러낸 것이다. 전후 피폐한 지역문화현실을 극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전쟁을 겪으며 폐허가 되었던 안동에 새로운 문화접변 현상을 박종우가 불러 일으켰고 그 결실로 학생문예운동이 일어난다. 후자는 안동에만 국한되는 것도 아니다. 박종우에게 시창작 지도를 받은 경상남북도 학생들은 오늘날 지역문학 현장에서 중심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안동의 경우는 당시 문예장학생 제도로 대학입학까지 하는 사례도 생겨나 문예창작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영문 초록
As part of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this paper aims to find and discover scenes from marginalized regional literature to show that a more complete literary history can be gained through literary history descriptions that involve identifying traces of struggling writers and confirming their exchange, even in the local culture reality, which lacks a human and physical foundation compared with central literary history. In addition to discovering the artists that were active in the Andong area and examining their works in order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local literature, we also organized these artists’ activities to see how their capabilities operated within the community. Park Jong-woo, who has no connection with Andong, is not relevant simply because he was a teacher at Andong High School. At the time, Andong had no writer in terms of the ready-made paragraph, and the ruins had not been properly restored since the war. It was not an environment that was conducive for a concentration of artistic or literary competence. I think that the reason Park Jong-Woo was able to lead and create a literary atmosphere in Andong is because there is a great reason behind the formation of the region’s modern literature. The fact that Andong’s modern literature began with a focus on student drivers reveals an important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 Park’s influence is largely mentioned in two ways. Machyang is a literary teacher’s map of poetry creation as well as a method of group organization. The former brought a new energy to the literature hall in Andong, from which modern literature was absent. It can be sai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the devastated post-war local cultural reality. In Andong, which was ruined during the war, Park Jong-woo evoked a new cultural transformation phenomenon, resulting in a student literature movement. The movement is not limited to Andong. Students from Gyeongsangnam-do, North Korea, who responded to Park Jong-woo’s guidance on poetry creation, play a central role in the field of local literature today. In the case of Andong,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students who were able to attend university through the literary scholarship syste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박종우의 문예교사 역할
3. <맥향>동인, 주변작가와 안동문학
4. 학병체험을 기반으로 하는 시집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선규의 <빙화>에 나타난 전체주의적 선전의 특성 연구
- 성인 초기 여성의 미래 불안 대처유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교수역량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宋初文禁政策与李煜研究 - 以文学史史料学研究为中心
- The DPRK’s Triple Disaster: Failure of Governance, Flooding, and Drought
- 사회과학분야 박사학위자의 질적 연구 경험
- 자유학기제 실시에 따른 중학생의 민주시민역량과 학교행복감 영향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커뮤니티 언어 기반의 문화 체계 연구
-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에 관한 연구
- 교사의 직업 적성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 뷰티문화융합 교육개발을 위한 현장적용 사례연구
- The Grammaticalization of -(u)l-swu~iss- in Korean
- 과학 담화의 비유 사용에 대한 말뭉치 기반 연구
- 인지언어학에 기초한 2017년 신어의 의미 구성 연구
- 문학과 역사의 융합을 통한 문학 비평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대학 리빙랩을 통한 도시공원의 ‘스피커스 코너’ 운영에 관한 연구
- 안동 현대문학사에서 박종우의 위상
- 충북지역 중학생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을 위한 문화교육 영어과 자료 개발 사례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에 관한 상관성 연구
- ‘대학 1학년 교육’ 질 제고를 위한 기초 분석
- 역사 배경 영화를 활용한 팀기반학습(TBL) 수업 연구
- 20세기 전반기 한국과 일본의 재즈송 비교
- 종교인구 감소의 시대 종교의 스포츠 활용현황과 과제
-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활동만족도가 전공효능감 및 전공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문화지형도의 변화에 따른 여성민요의 전승과 소통
- 자료 찾기와 토의를 활용한 소설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 이호우 문학의 지역성 및 문학콘텐츠로의 가능성 검토
- 근대 라디오방송과 방송극(放送劇)연구
- 뮤직비디오〈This Is America〉의 힙합 정체성
- 목성균 수필의 휴머니즘 고찰
- 옛이야기 그림책 출판 실태와 미래 모색
- 타로카드의 이미지에 관한 지각원리 고찰
- 잠명류(箴銘類) 산문에 드러난 문화 향유 방식과 그 교육적 의미
- R.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에 드러난 음악적 메타포
- 반인간주의 실재론의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자유전공학부 운영 현황 및 학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I 기반 챗봇 한국어 텍스트의 자연어 분석 및 한국어 교육 활용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