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선규의 <빙화>에 나타난 전체주의적 선전의 특성 연구
이용수 1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otalitarian propaganda in
of Seon-gyu Im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백승숙(Seung-suk, Baik)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2권 4호, 33~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2019년 한국 연극계에서 있었던, 임선규의 <빙화> 공연 취소 사건을 계기로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빙화>의 친일성 논란에 대해 하나의 견해를 제출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빙화>가 지닌 저항적 요소, 혹은 민족주의적 요소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면서 이 작품이 어떻게 이런 평가를 이끌어낼 수 있었는지, 그 극적 전략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서 쟈끄 엘륄의 저서, <선전>을 그 분석의 방법론으로 삼았다. 정리하면, 이 논문은 임선규의 <빙화>를 ‘선전’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의 친일성 여부를 새롭게 짚어보고자 하였다. 첫째 이 작품은 증오를 활용한 전복적 선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빙화>는 조선인들에게 방화, 살인, 강간을 일삼은 러시아에 대한 증오를 불러일으켜 반공산주의 선전을 함으로써 조선인들의 내면에 잠복되어 있는 공산주의에 대한 호감 등을 전복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이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활용한 합리적 선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빙화>는 1937년에 실시된 러시아의 조선인 강제이주 사건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제재로 하여, 합리성의 외장을 한 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과 증거에 근거한 합리적인 선전을 통해서 선전자가 이끌어내고자 하는 것은 관객들의 비합리적 반응이었다. 그것은 곧 조선인들이 자유주의, 개인주의를 청산하고 내선일체를 수용하는 것이고, 제국의 전쟁에 동참할 것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셋째 이 작품은 멜로드라마를 활용한 통합선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통합선전의 목적은 사람들을 사회활동에 동참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선규는 당대 관객의 교양 수준을 생각하고 멜로드라마 형식을 통해 관객들의 감수성을 자극하여 그들에게 심리적 동조를 얻어내고, 지식인 주인공을 통해 감정이입을 하게 함으로써 관객들을 총력전에 동참케 하고자 하였다. 이때 운명 조국 형제 등과 같은 민족주의적 단어들은 선전을 위한 마술적 단어들로서 사용되었다. 이 논문은 임선규의 <빙화>가 선동 선전의 세 가지 차원을 고루 실현하고 있는, 그 어떤 작품보다도 강렬하고, 명백한 친일 작품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재로서의 러시아 강제 이주 사건은 ‘합리적 선전’을 위한 방법론일 뿐이며, 민족주의적인 의도와는 거리가 멀다는 사실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로써, 작년에 불현듯 제기된 바 있는 <빙화> 논란에 하나의 의견을 더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submit a point of view on the controversy over the identity of Seon-gyu Im’s “Binghwa,” which resurfaced following the cancellation of its performance in Korean theater in 2019. This paper analyzed the dramatic strategy that pertains to how this work was able to elicit such an evaluation; the paper also puts forth a counter-argument to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play’s resistance or nationalist element. Jacques Ellul’s Propaganda was used as an analytical lens. In summary, this paper attempted to reconsider whether Seon-gyu Im’s “Binghwa” reflects pro-Japanese intentions by analyzing it through the concept of propaganda. Firstly, this work uses the emotion of hatred as subversive propaganda. “Binghwa” attempts to overthrow the crushing communism that is hidden within the Korean people by promoting anti-Communist propaganda through the arousal of hatred for Russia via arson, murder, and rape. Secondly, with its utilization of historical facts, the work has the characteristics of rational propaganda.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of the forced migration of Russians in 1937, “Binghwa” presents a rational exterior ; however, the intention is to use rational propaganda, based on facts and evidence, to elicit an irrational reaction from the audience. This is intended to make Koreans abandon liberalism and individualism, accept internal unity, and participate in the empire’s war. Thirdly, through its use of melodrama, the work has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propaganda, which aims to engage people in social activities. Seon-gyu Im’s intention is to involve the audience in an all-out war, which he accomplishes by assessing the audience’s level of sophistication and exploiting audience members’ sensitivity using the melodramatic form in order to elicit their psychological sympathy and encourage them to empathize with the intellectual protagonist. At this point, nationalistic words, such as “destiny,” “nation,” “brothers,” are used as magical words for propaganda. This paper’s thesis attempted to reveal that Seon-gyu Im’s “Binghwa” is a more intense and more clearly pro-Japanese work than any other work that realizes the three dimensions of propaganda. Taking forced migration to Russia as a subject is just a “rational propaganda” method, and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it far from proves nationalistic intentions. Thus, I would like to add one opinion to last year’s unexpected “Binghwa” controvers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증오를 활용한 전복적 선전
3. 역사적 사실을 활용한 합리적 선전
4. 멜로드라마를 활용한 통합적 선전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선규의 <빙화>에 나타난 전체주의적 선전의 특성 연구
- 성인 초기 여성의 미래 불안 대처유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교수역량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宋初文禁政策与李煜研究 - 以文学史史料学研究为中心
- The DPRK’s Triple Disaster: Failure of Governance, Flooding, and Drought
- 사회과학분야 박사학위자의 질적 연구 경험
- 자유학기제 실시에 따른 중학생의 민주시민역량과 학교행복감 영향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커뮤니티 언어 기반의 문화 체계 연구
-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에 관한 연구
- 교사의 직업 적성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 뷰티문화융합 교육개발을 위한 현장적용 사례연구
- The Grammaticalization of -(u)l-swu~iss- in Korean
- 과학 담화의 비유 사용에 대한 말뭉치 기반 연구
- 인지언어학에 기초한 2017년 신어의 의미 구성 연구
- 문학과 역사의 융합을 통한 문학 비평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대학 리빙랩을 통한 도시공원의 ‘스피커스 코너’ 운영에 관한 연구
- 안동 현대문학사에서 박종우의 위상
- 충북지역 중학생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을 위한 문화교육 영어과 자료 개발 사례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에 관한 상관성 연구
- ‘대학 1학년 교육’ 질 제고를 위한 기초 분석
- 역사 배경 영화를 활용한 팀기반학습(TBL) 수업 연구
- 20세기 전반기 한국과 일본의 재즈송 비교
- 종교인구 감소의 시대 종교의 스포츠 활용현황과 과제
-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활동만족도가 전공효능감 및 전공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문화지형도의 변화에 따른 여성민요의 전승과 소통
- 자료 찾기와 토의를 활용한 소설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 이호우 문학의 지역성 및 문학콘텐츠로의 가능성 검토
- 근대 라디오방송과 방송극(放送劇)연구
- 뮤직비디오〈This Is America〉의 힙합 정체성
- 목성균 수필의 휴머니즘 고찰
- 옛이야기 그림책 출판 실태와 미래 모색
- 타로카드의 이미지에 관한 지각원리 고찰
- 잠명류(箴銘類) 산문에 드러난 문화 향유 방식과 그 교육적 의미
- R.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에 드러난 음악적 메타포
- 반인간주의 실재론의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자유전공학부 운영 현황 및 학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I 기반 챗봇 한국어 텍스트의 자연어 분석 및 한국어 교육 활용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