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라디오방송과 방송극(放送劇)연구

이용수 218

영문명
Radio and Contents of Modern East Asia - Focusing on a broadcast pla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엄현섭(Eum, Hyun-sup)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4호, 339~3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라디오방송 중에서 방송극은 문학적이며 방송을 위해 만든 소리(聲)를 통해 구현되는 청각문학이다. 초창기 방송극의 발달과정을 보면 무대극에 해설만 곁들이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청각예술의 특징을 살려내면서 음악과 음향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갔다. 방송극의 청취하는 사람들은 소리를 매개로 하여 내면에 ‘극공간(劇空間)’을 창출해야 되기 때문에 다른 장르보다 순수한 상상력에 의지하는 장르이다. 소리를 통한 호소력은 경우에 따라 문자, 영상보다 더 큰 정서적 감동을 유발 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근대 라디오방송 연구는 일본의 연구자료, 해석에 의해 규정되었다. 물론 기본적인 사실관계만을 놓고 보면 수용할 부분도 있지만 큰 틀에서는 식민지적 사고가 개입된 부분이 없지않다. 우리와 일본 측의 논의를 검토해 보면 일정도 수긍되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다. 따라서 근대 라디오방송에 관해서 해명되고 연구할 부분이 많다. 그런데 근대 제국일본의 정치, 사회적인 교류와 비교연구의 성과는 어느 정도 축적되어 있었으나 방송사적 측면에서의 교류 및 비교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문화, 사상적인 측면에서의 근대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전통 사상, 문화로서의 방송과 문화의 충돌 및 융화라는 관점에서 근대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그 일환으로 본고는 기존의 논의를 점검하고, 근대 방송극에 관한 것을 정리하였다. 이것을 통해서 근대 동아시아 라디오방송에 관한 명확한 개념 정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emergence and concept of East Asian radio broadcasting. It focuses on broadcasting dramas, which are literary and auditory literature transmitted through sound made for radio broadcasting.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early broadcasting dramas, stage dramas were communicated strictly through commentary. However, music and sound have become incorporated, as they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auditory art. Audio is a genre that relies more on imagination than other genres because listeners of broadcasting dramas have to create a “polar space” with sound as a medium. For the audience, sound can, in some cases, produce a greater emotional impact than text and images. The study of modern Korean radio broadcasting was defined using Japanese research data and interpretation. Of course, based on historical contexts, the colon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fluenced the thinking and production involved in the broadcasts. In reviewing the discus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scholars might have differing opinions on the timeline of events during which broadcasts were made. Therefore, there are many aspects to be researched and explained about modern radio broadcasting. Although the achievements of political and social exchanges and comparative studies in modern imperial Japan were accumulated to some extent, exchanges and comparative studies were not conducted in terms of broadcasting companie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d ideological modernization, this study offers a new viewpoint through the lens of traditional thought, in which broadcasting is presented as both a clash and harmony of culture. Existing discussions and contents of modern broadcasting dramas were used for reference in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a clear concept of modern East Asian radio broadcasting could be possible.

목차

1. 서론
2. 라디오방송 연구 검토
3. 근대 라디오방송의 예술성과 미학
4. 방송 콘텐츠로서의 방송극(放送劇)
5.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현섭(Eum, Hyun-sup). (2020).근대 라디오방송과 방송극(放送劇)연구. 문화와융합, 42 (4), 339-362

MLA

엄현섭(Eum, Hyun-sup). "근대 라디오방송과 방송극(放送劇)연구." 문화와융합, 42.4(2020): 339-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