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협치의 빅데이터 거버넌스 도입 방안

이용수 331

영문명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Big Data Governance into Cultural Governanc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선영(Kim Sunyoung) 권병웅(Kwon Byungwoo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2호, 75~10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들어 협치(governance)가 정치 분야뿐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지역문화에서의 협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행해질 경우 협력적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며,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그 동안의 문화협치가 구성원들의 자발성과 자생적 질서에 기초하여 진정으로 ‘열린 사회’를 지향해 왔는지에 대해서는 재검토와 반성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오늘날 진정한 문화협치를 이루기 위해서 연결과 참여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빅데이터에 의한 지역문화협치 모델로 ‘빅데이터 거버넌스’를 제안하였다. 이 형태는 기존 모델에 빅데이터 플랫폼에 의해 도출된 의견이 의사결정구조에 추가된다. 빅데이터 플랫폼은 사안마다 지역의 소극적 은둔형 시민들이 게시한 소셜미디어나 인터넷 상의 의견 또는 그들의 행적이 사물인터넷에 의해 생산된 데이터가 수집 분석되어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또한 지방정부, 문화기관, 민간문화단체 등이 각각 빅데이터 플랫폼으로부터 자신들의 주장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하는 구조이다. 즉 빅데이터에 의한 거버넌스는 공동체의 존재, 정체성, 기능에 대한 회의와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과 불투명한 정부(또는 지방정부)의 데이터 이용으로 인해 실제 많은 빅데이터가 누적되고 있음에도 활용에 법적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 또한 동시에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4차 산업혁명과 지역분권이 강조되는 이 시대에 빅데이터에 의한 시민참여 활성화를 통해 진정한 문화협치의 구현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governance has become a hot topic in various parts of society as well as in politics. In particular, the belief that cooperative interaction in regional culture has the effect of creating new cultural values and solving social problems when it is done in a desirable direction has become prevale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reflect on whether regional cultural governance has been oriented toward an open society based on the spontaneity and self-imposed order of its member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opose Big Data as a tool of regional cultural governance, using it as a form of citizen passive participation, and making it the first priority to be considered as a means of real cultural governance today. Although it is not a direct statement of intent by a person or group, data mining of such opinions or traces can be reflected in decision-making, regardless of passive participation. The Big Data regional cultural governanc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adds the opinions derived from the Big Data platform to the existing model, and thence to the decision structure. The Big Data platform collects and analyzes the data produced by the Internet of Things(IoTs), including opinions posted on social media and the Internet, posted by passive citizen participants of the region in each case, and has a direct influence on decision-making.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cultural institutions, and cultural movement organizations(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r NGOs) extract and utilize data from the Big Data that can objectively verify their claims. At present, in Korea, there are many legal restrictions on the use of personal data and government(or local government) data, despite the accumulation of a great deal of Big Data. In this era, whe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local decentralization are emphasized, we expect the realization of the regional cultural governance through the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using Big Data.

목차

1. 서론
2. 문화협치와 참여
3. 빅데이터와 문화협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영(Kim Sunyoung),권병웅(Kwon Byungwoong). (2019).문화협치의 빅데이터 거버넌스 도입 방안. 문화와융합, 41 (2), 75-106

MLA

김선영(Kim Sunyoung),권병웅(Kwon Byungwoong). "문화협치의 빅데이터 거버넌스 도입 방안." 문화와융합, 41.2(2019): 75-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