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교사들의 ChatGPT와 연구윤리 인식에 대한 연구 - 사범대와 교육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용수 35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ChatGPT and Research Ethic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덕(Jeung Deok Kim) 이두연(Doo Yeon L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549~5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범대 학생들과 교육대 학생들의 ChatGPT의 교육적 활용을 포함한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실제 표절로 이어지는 데에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로, 설문에 참여한 대상은 서울·경기권 소재 교육대학교와 경북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03명교( 육대 학교 학생 45명, 사범대학 학생 58명)이었다 . 설문지는 표절을 하는 이유와 표절 현황, 표절의 정도, ChatGPT의 교육적 활용을 표절로 인식하는지의 여부, 연구윤리 교육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분석에는 교원 양성기관 학생들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과 분산분석, 그리고 독립표본 t-test이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대학 학생들이 사범대학 학생들에 비해 조금 더 표절을 포함한 연구윤리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윤리교육을 받은 비율의 경우 ChatGPT와 같은 소프트웨어 사용과 관련한 교육을 받은 비율이 여타 표절 관련 교육을 받은 비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허락 없이 사용하는 것은 표절로 인식한 반면, ChatGPT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경우는 사용에 대한 허락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향후 사범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윤리 교육에서 ChatGPT를 현명하게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인용 출처를 밝히는 방법을 포함한 학생들의 연구윤리에 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교양과목의 내용요소에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plagiarism and ChatGPT use among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College of Teacher Education. Utilizing a mixed-methods approach, the research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conducted with 103 participa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The survey examined reasons for plagiarism, the current state and extent of plagiarism, perceptions of educational uses of ChatGPT as plagiarism, and the level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paired t-tests, independent t-tests,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explore differences based on the typ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Firstly,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exhibited slightly higher awareness of plagiarism-related research ethics compared to those from the College of Teacher Education. Secondly, the proportion of students receiving training specifically on the use of software like ChatGPT was notably lower than that of other plagiarism-related education. Lastly, while students recognized unauthorized use of others' works as plagiarism, many believed permission was not needed for using software like ChatGPT.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a pressing need for enhanced research ethics education addressing ChatGPT and similar AI tools among pre-service teachers,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courses on proper citation practices and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research ethics within core liberal arts curricula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조사 방법
4. 결과 분석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oughts on the Trends in 21st-Century Liberal Arts Education : Seeking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y
-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in Taiwan
-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Market Failure
- 교양교육정책의 역사적 한계와 질적 전환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서의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인식 분석 - 지·산·학 협력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에 따른 교양 교육과정 혁신의 필요성과 방향 -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방안을 중심으로
- K공유대학의 전문대생을 위한 강원권 공동 교양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사례 연구
- 핵심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 분석과 우선순위 도출을 통한 교양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 G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 - 생성형 AI 가이드라인과 생성형 AI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Engaged Learning을 적용한 수준별 AI 교양 교육 과정 설계와 사례 분석 - AI와 머신러닝 중심으로
- 초연결사회, 교육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인문학의 협력적 창의성 연구1
- 다중단계 생애(multi-stage life) 관점에 기반한 인간 메타역량이 교양교육에 주는 시사점
-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고전교육의 성과분석 연구
- 플라톤의 인간과 교육 - 모두를 위한 국가, 훌륭한 시민을 위한 교육
- Deleuze의 몸 담론에 비추어 본 의복행동의 교육적 의미
- 문명전환의 시대와 글로벌 민주주의의 위기 - 그 의미와 세계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개요 재구를 통한 개요 중심 글쓰기 교육 연구
- 학습 연계 글쓰기(Writing to Learn) 기반 대학 글쓰기 과제 연구 - A 대학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에듀테크의 한국어교육 적용 가능성과 쟁점 - 대학 한국어 교사의 인식과 생성형 AI의 특성을 중심으로
- Student Engagement and Perceptions in College English Writing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Identity Formation in Educational Communities of Practice : The Role of Communication, Trust, and Conflict Mediation
-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문이력서(Résumé)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과정 중심 영어 글쓰기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가능성 연구 -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 팀티칭 교수법을 적용한 대학원격교육 융복합 교양교과목 개발운영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 ‘마음면역코칭’을 중심으로
- 교수자의 융복합을 바탕으로 확장된 내용의 교양 교과목 ‘공부에 대한 공부’ 개발 및 운영 사례
- 전공 연계 교양필수 영어 수업 만족 요인 학습자 인식 연구
- 역량 기반 교양강좌의 강의평가 분석 - <인성과 소통> 교과목을 중심으로
- 지역기반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생의 교육만족도 및 진로지원 인식 분석 - K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의 온·오프라인 수업환경에서 요구되는 교수자 커뮤니케이션 역량 체크리스트 개발
- 비교과 프로그램 경험에서의 자기성장 - G대학 상담심리 학부생 중심으로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 생활과 진로 탐색 교과목 개발 및 운영 효과 - 예술대학생을 대상으로
- 강의페어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융복합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교양교과 운영에서 익명 채팅 도구 활용의 효율성 및 요구 분석
- 예비 교사들의 ChatGPT와 연구윤리 인식에 대한 연구 - 사범대와 교육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 죽음교육을 위한 음악활용의 의의
- 교양교육연구 제18권 제6호 목차
참고문헌
- Korean Instructor Newspaper
- English Subject Education
- Journal of the Computer Education Society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Por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actical Education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Korea Research Foundation
- Journal of Ethics
- Korea and the World
- RH Korea
-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 Korea Elementary Education
- Law
- McGraw-Hill
- Jorunal of Photo Geography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Educational Research Discussions Total
- Education Newspaper
- CA: SAGE Publications, Inc.
- The Atlantic
- Ditch That Textbook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