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교사들의 ChatGPT와 연구윤리 인식에 대한 연구 - 사범대와 교육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용수 35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ChatGPT and Research Ethic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정덕(Jeung Deok Kim) 이두연(Doo Yeon L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549~56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범대 학생들과 교육대 학생들의 ChatGPT의 교육적 활용을 포함한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실제 표절로 이어지는 데에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로, 설문에 참여한 대상은 서울·경기권 소재 교육대학교와 경북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03명교( 육대 학교 학생 45명, 사범대학 학생 58명)이었다 . 설문지는 표절을 하는 이유와 표절 현황, 표절의 정도, ChatGPT의 교육적 활용을 표절로 인식하는지의 여부, 연구윤리 교육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분석에는 교원 양성기관 학생들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과 분산분석, 그리고 독립표본 t-test이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대학 학생들이 사범대학 학생들에 비해 조금 더 표절을 포함한 연구윤리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윤리교육을 받은 비율의 경우 ChatGPT와 같은 소프트웨어 사용과 관련한 교육을 받은 비율이 여타 표절 관련 교육을 받은 비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허락 없이 사용하는 것은 표절로 인식한 반면, ChatGPT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경우는 사용에 대한 허락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향후 사범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윤리 교육에서 ChatGPT를 현명하게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인용 출처를 밝히는 방법을 포함한 학생들의 연구윤리에 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교양과목의 내용요소에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plagiarism and ChatGPT use among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College of Teacher Education. Utilizing a mixed-methods approach, the research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conducted with 103 participa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The survey examined reasons for plagiarism, the current state and extent of plagiarism, perceptions of educational uses of ChatGPT as plagiarism, and the level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paired t-tests, independent t-tests,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explore differences based on the typ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Firstly,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exhibited slightly higher awareness of plagiarism-related research ethics compared to those from the College of Teacher Education. Secondly, the proportion of students receiving training specifically on the use of software like ChatGPT was notably lower than that of other plagiarism-related education. Lastly, while students recognized unauthorized use of others' works as plagiarism, many believed permission was not needed for using software like ChatGPT.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a pressing need for enhanced research ethics education addressing ChatGPT and similar AI tools among pre-service teachers,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courses on proper citation practices and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research ethics within core liberal arts curricula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조사 방법
4. 결과 분석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덕(Jeung Deok Kim),이두연(Doo Yeon Lee). (2024).예비 교사들의 ChatGPT와 연구윤리 인식에 대한 연구 - 사범대와 교육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8 (6), 549-566

MLA

김정덕(Jeung Deok Kim),이두연(Doo Yeon Lee). "예비 교사들의 ChatGPT와 연구윤리 인식에 대한 연구 - 사범대와 교육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8.6(2024): 549-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