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공자율선택제에 따른 교양 교육과정 혁신의 필요성과 방향 -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수 143

영문명
The Need for and Direction of Liberal Arts Curriculum Innovation Under the Undeclared Major Enrollment Polic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Liberal Arts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최선경(Seonkyung Choi) 이효숙(Hyo Sook L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87~10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방안을 통해 전공자율선택제의 시행에 따른 교양교육의 혁신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학습자의 전공 선택권의 확대, “빅 블러(Big Blur)” 시대를 선도할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추진된 전공자율선택제가 대학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무전공, 자유전공 입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그리고 이들이 소속될 자유(율)전공학부의 정체성과 역할을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우선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전공자율선택제는 전공선택유예제로 변질, 운영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공자율선택제 입학생들이 소속될 자유(율)전공학부의 독자적인 교육과정으로서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2장에서는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 설계안을 제시하였으며, 3장에서는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의 운영과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and proposes the direction for innov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implementing the Undeclared Major Enrollment Policy, emphasizing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n integrated liberal arts curriculum. To ensure the successful institutionalization of this system, which aims to expand students’ autonomy in choosing their majors and cultivate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talents in the era of the “Big Blur”, universities must address the key questions of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incoming students without a declared major or those enrolled in undeclared major departments. Additionally, they must define a clear identity and role for these undeclared major departments. Without such efforts, the Undeclared Major Enrollment Policy risks devolving into nothing more than a system of deferred major declaration. Building upon this recognition of the issue, this study develops an integrated liberal arts curriculum as a distinct academic framework tailored for students admitted under the Undeclared Major Enrollment Policy within the Liberal (Interdisciplinary) Studies Department. Chapter 2 outlines the curriculum design framework, whereas Chapter 3 examines its implementation and associated teaching methodologies

목차

1. 머리말
2.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의 설계
3.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의 운영과 교수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선경(Seonkyung Choi),이효숙(Hyo Sook Lee). (2024).전공자율선택제에 따른 교양 교육과정 혁신의 필요성과 방향 -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방안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8 (6), 87-100

MLA

최선경(Seonkyung Choi),이효숙(Hyo Sook Lee). "전공자율선택제에 따른 교양 교육과정 혁신의 필요성과 방향 -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방안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8.6(2024): 87-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