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 생활과 진로 탐색 교과목 개발 및 운영 효과 - 예술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수 26

영문명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a Blended Learning-Based Course on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 Focused on Art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박우정(Woojung Park)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513~5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대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 생활과 진로 탐색 교과목을 개발하고 그 운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예술대학생들은 급변하는 예술 산업 환경과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 주도적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진로 적응성과 진로 탄력성을 향상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진로 교육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수업만으로는 이러한 요구를 충분히 충족하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러닝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 준비 행동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A 예술대학에서 대학 생활과 진로 탐색 교과목을 수강한 10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양적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양적분석은 대학 생활 적응과 진로 준비 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교과목이 예술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과 진로 준비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적분석은 강의 평가와 활동지 분석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학생들은 교과목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고, 진로 준비에 자신감을 얻었으며, 친구와의 상호작용이 대학 생활 적응 및 진로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블렌디드 러닝이 예술대학생들의 진로 교육에 효과적인 교육 방식임을 입증하며, 개발된 교과목이 예술 산업의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진로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예술대학의 진로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course for art students utilizing a blended learning approach. Art college students must navigate the rapidly changing art industry and an uncertain future by proactively exploring and preparing for their own career paths. To facilitate this process, it is essential to provide systematic and practical career education that enhances career adaptability and resilience. Traditional offline courses alone may not sufficiently address these needs; therefore, this study implements a blended learning method to strengthe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career preparation. The study involved 103 students enrolled in the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course at A Art College, employ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to compare preand post-test data on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the course on both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Qualitative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students improv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gained confidence in their career preparation processes, and found peer feedback beneficial in addressing career-related challeng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blended learning is an effective approach for career education among art college students, suggesting that the developed course plays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career competencies that enable students to adapt flexibly to changes in the art industry. These result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art colleg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우정(Woojung Park). (2024).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 생활과 진로 탐색 교과목 개발 및 운영 효과 - 예술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18 (6), 513-536

MLA

박우정(Woojung Park).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 생활과 진로 탐색 교과목 개발 및 운영 효과 - 예술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18.6(2024): 513-5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