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정 중심 영어 글쓰기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가능성 연구 -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81

영문명
Exploring the Potential of ChatGPT in Process-oriented English Writing Classes : Focusing on Learn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수림(Surim L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367~38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 중심 영어 글쓰기 수업에서 ChatGPT를 활용한 학습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고, 생성형 AI 도구가 학습자의 영어 글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한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는 A대학의 1학년 필수 교양 영어 수업에 참여한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ChatGPT 활용도, 효과성, 영어 학습 능력 향상, ChatGPT를 활용한 영어 글쓰기 학습 경험의 만족도에 대한 객관식 문항과 영어 글쓰기에서 ChatGPT를 활용했을 때의 장점과 단점을 묻는 서술식 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자료는 IBM SPSS 27.0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주로 내용 수정, 문법 오류 교정, 개요 작성에서 ChatGPT를 활용했으며, ChatGPT가 에세이 질 향상에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 약 68%의 학습자는 ChatGPT를 활용한 영어 글쓰기 활동을 흥미롭게 경험했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ChatGPT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기보다는 보조 도구로 활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정보 신뢰성 부족과 과도한 의존에 대한 우려도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ChatGPT가 직접적인 영어 능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ChatGPT는 영어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정보 신뢰성과 창의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보완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ChatGPT를 활용한 영어 글쓰기 경험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과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sing ChatGPT in process-oriented English writing classes and to explore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generative AI tools on improving students' English writing skill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1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ing in a required general English course at University. The survey consisted of multiple-choice questions about ChatGPT usage, effectiveness, improvement in English learning 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English writing learning experience using ChatGPT, as well as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ChatGPT in English writing.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IBM SPSS 27.0.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primarily used ChatGPT for content revision, grammar error correction, and outline creation, and they evaluated ChatGPT a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essay quality. Approximately 68% of learners reported finding the English writing activities using ChatGPT interesting. However, there was a notable tendency to use ChatGPT as a supplementary tool rather than directly incorporating its content. Concerns were also raised about the lack of information reliability and over-reliance on the tool. Additionally, students perceived that ChatGPT had limitations in directly improvi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n conclusion, ChatGPT was evaluated as a tool that can provide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in English writi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generating interest and motivation. However, educational measures are needed to address issues such a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potential decline in creativity. Based on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English writing experiences using ChatGPT,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목차

1. 서론
2.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단말기_4월_북꽃축제(우측윙)
  • [윙하단] 열린책들 세계문학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