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연결사회, 교육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인문학의 협력적 창의성 연구1

이용수 82

영문명
Research on Collaborative Creativity in Innovative Humanities through a Hyper-Connected Society and Educational Networks1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조혜진(Hei-jin Cho)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137~15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연결사회의 전환기적 변화 가운데 대학의 인문 교양 교육은 호모커넥투스 세대가 될 MZ세대를 위해 혁신교과목을 개발, 동반 교육 네트워크(Co-Education Network)로서 새로운 학습법과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2020년 산업자원통상부에서 주관하는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서울 C대학 공대생을 위한 혁신인문학 프로그램을 개발, 「4차 산업시대, 공학도를 위한 포스트휴머니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어 2021년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지원사업>에 계속 선정되어 연구자는 서울 C대학 「공대생을 위한 협력적 창의성 독서교육 활용방안」을 개발해 진행하였다. 두 번째로 연구자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2020년에서 2024년에 이르기까지 충남의 중소도시에 위치한 대학의 중앙도서관과 협력하여 빅테이터, 가상현실, 드론 정보학과 및 멀티미디어학과, 보건의료학과 등 이공계 학생들 및 기타 전공의 N대학 대학생들에게 서울 C대학 공대생을 위한 혁신인문학 프로그램을 공유하였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통해 연구자는 협력적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해 선제조건이 되어야 하는 것은 단순히 시스템 구축이 아니라, 혁신 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의 전문성이라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 이 과정에서 교육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인문학이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참여 대상으로 하는 데 교육의 공평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혁신인문학 연구의 의의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다. 더불어 협력적 실천 중심의 연구 토대가 구축될 때, 초연결성을 지향하는 교육 네트워크(Co-Education Network)로서 혁신인문학은 협력적 창의성의 의의 속에서 초연결사회의 교육 혁신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mong the transitional changes in a hyperconnected society,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needs to develop innovative courses and new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as a Co-Education Network for the MZ generation, which will be the HomoConnectus generation.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was selected for the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n 2020 to develop an innovative humanities program for engineering students at C University in Seoul, and to conduct the . It was then continuously selected as the in 2021, and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proceeded with the 「Collaborative Creativity Reading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at C University in Seoul. Secondly, from 2020 to 2024, the researcher collaborated with the central library of the university locate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Chungnam to share innovative humanities programs for engineering students at C University in Seoul and other majors such as Big Data, Virtual Reality, Drone Information and Multimedia, and N University students in health car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researchers have come to recognize that it is not just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but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charge of innovative education that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cultivating cooperative creativity.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significance of innovative humanities research was newly discovered in that innovative humanities through the educational network aims for fairness in education in targeting learners from various backgrounds. In addition, when a research foundation centered on cooperative practice is established, it is expected that innovative humanities as an educational network (Co-Education Network) aimed at super connectivity will be more helpful in educational innovation in a hyperconnected society in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ve creativity.

목차

1. 서론
2.초연결사회, 혁신인문학 프로그램 개발 - 산업자원통상부 지원 서울 C대학 포스트휴머니즘 프로그램
3.초연결사회, 혁신인문학 교육 네트워크- 대학 도서관 협력을 통한 N대학 호모커넥투스 프로그램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진(Hei-jin Cho). (2024).초연결사회, 교육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인문학의 협력적 창의성 연구1. 교양교육연구, 18 (6), 137-152

MLA

조혜진(Hei-jin Cho). "초연결사회, 교육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인문학의 협력적 창의성 연구1." 교양교육연구, 18.6(2024): 137-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