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고전교육의 성과분석 연구

이용수 26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alysis of Classical Education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권순구(Soon Koo Kwon) 윤승준(Seungjoon Yoo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197~21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전읽기를 활용한 교양교육의 교육적 성과를 분석하고, 학습자 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 ‘명저읽기’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학업 성취도 점수를 기준으로 상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관련 역량과 동기, 강의만족도의 변화를 각각 살펴보았다. 먼저,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강생들의 모든 역량, 문제해결 효능감, 강의만족도는 사전 설문에 비해 사후 설문에서 더 높은 평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성취도 수준에 따른 분석에서도 동일한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전교육이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상관없이 모든 학습자의 관련 역량과 동기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학업적 흥미는 사전 설문에 비해 사후 설문에서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적 흥미의 경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고전읽기를 활용한 강좌가 학생들의 관련 역량과 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되고, 이러한 성과가 학업 성취와 무관하게 모든 학습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점을 통해 교양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ducational outcomes of incorporating classic literature into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explore whether these outcomes vary according to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enrolled in the “Reading Great Books” course at University A. Based on academic performance score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high- and low-achievement groups, and changes in relevant competencies, motivation, and lecture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cross the entire sample, post-survey scores for all competencies, problem-solving self-efficacy, and lecture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pre-survey scores, demonstr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improvements.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in the analysis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gaging with classic literature enhances learners’ competencies and motivation,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s. Conversely, academic interest declined in the post-survey compared to the pre-survey, with situational interes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demonstrating that coursesincorporating classic literature effective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petencies and self-efficacy. Furthermore, the study underscores that these benefits are accessible to all learners, irrespective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 reaffirm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순구(Soon Koo Kwon),윤승준(Seungjoon Yoon). (2024).학업성취수준에 따른 고전교육의 성과분석 연구. 교양교육연구, 18 (6), 197-211

MLA

권순구(Soon Koo Kwon),윤승준(Seungjoon Yoon).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고전교육의 성과분석 연구." 교양교육연구, 18.6(2024): 197-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