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 연계 글쓰기(Writing to Learn) 기반 대학 글쓰기 과제 연구 - A 대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60
- 영문명
- Exploring Writing to Learn in University Assignments : A Case Study of University A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손다정(Dajung Son) 변현정(Hyunjung Byun) 서윤경(Younkyung Se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273~2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 연계 글쓰기(Writing to Learn) 유형 분류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A 대학의 교과별 글쓰기 과제 유형을 분석하여 대학에서 글쓰기가 학습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에서 2023년 1학기와 2학기에 개설된 모든 교과별 강좌의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와 두 차례의 전문가 타당화를 거쳐 학습 연계 글쓰기인 대학 글쓰기 과제의 유형을 ‘요약하기, 감상적 글쓰기, 설명적 글쓰기, 논증적 글쓰기, 창의적 탐구 글쓰기’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학기별, 단과대학별, 학년별, 이수 구분별, 수업 운영 유형별, 수업 방법별로 글쓰기 과제의 유형별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23년 개설 강좌 중 23%에서만이 글쓰기를 과제로 하고 있었으며, 다섯 가지 분류 유형 중 ‘감상적 글쓰기’ 유형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A 대학에서 학습 연계 글쓰기로 글쓰기 과제가 특정 유형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대면형을 제외한 기타 유형의 수업에서는 학습 연계 글쓰기가 거의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학생들의 학업 역량을 비롯한 사고력 향상을 위해 학습 연계 글쓰기로 글쓰기 과제를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types of Writing to Learn (WTL) and, based on this framework, analyze the writing assignments in various courses at University A to explore how writing is used as a tool for learning. To achieve this, writing assignments from all courses offer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3 at UniversityA were analyzed.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wo rounds of expert validation, five types of WTL assignments for university-level writing were classified as ‘Summarizing, Reflective Writing, Expository Writing, Argumentative Writing, and Creative Inquiry Writing’.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use of each type of writing assignment was analyzed according to semester, college, grade level, course completion type, class operation type, and teach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23% of the courses offered in 2023 included writing assignments, with ‘Reflective Writing’ being the most common among the five types. This study revealed that writing assignments at University A are predominantly focused on specific types of writing assignments within the context of Writing to Learn and that Writing to Learn is scarcely utilized in courses other than face-to-face classes. It is suggested that writing assignments using Writing to Learn should be more actively and effectively employed to enhance students’ academic abilitie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목차
1. 서론
2. 학습 연계 글쓰기로서 학술적 글쓰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와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oughts on the Trends in 21st-Century Liberal Arts Education : Seeking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y
-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in Taiwan
-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Market Failure
- 교양교육정책의 역사적 한계와 질적 전환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서의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인식 분석 - 지·산·학 협력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에 따른 교양 교육과정 혁신의 필요성과 방향 - 통합 자유학예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방안을 중심으로
- K공유대학의 전문대생을 위한 강원권 공동 교양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사례 연구
- 핵심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 분석과 우선순위 도출을 통한 교양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 G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 - 생성형 AI 가이드라인과 생성형 AI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Engaged Learning을 적용한 수준별 AI 교양 교육 과정 설계와 사례 분석 - AI와 머신러닝 중심으로
- 초연결사회, 교육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인문학의 협력적 창의성 연구1
- 다중단계 생애(multi-stage life) 관점에 기반한 인간 메타역량이 교양교육에 주는 시사점
-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고전교육의 성과분석 연구
- 플라톤의 인간과 교육 - 모두를 위한 국가, 훌륭한 시민을 위한 교육
- Deleuze의 몸 담론에 비추어 본 의복행동의 교육적 의미
- 문명전환의 시대와 글로벌 민주주의의 위기 - 그 의미와 세계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개요 재구를 통한 개요 중심 글쓰기 교육 연구
- 학습 연계 글쓰기(Writing to Learn) 기반 대학 글쓰기 과제 연구 - A 대학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에듀테크의 한국어교육 적용 가능성과 쟁점 - 대학 한국어 교사의 인식과 생성형 AI의 특성을 중심으로
- Student Engagement and Perceptions in College English Writing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Identity Formation in Educational Communities of Practice : The Role of Communication, Trust, and Conflict Mediation
-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문이력서(Résumé)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과정 중심 영어 글쓰기 수업에서의 ChatGPT 활용 가능성 연구 -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 팀티칭 교수법을 적용한 대학원격교육 융복합 교양교과목 개발운영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 ‘마음면역코칭’을 중심으로
- 교수자의 융복합을 바탕으로 확장된 내용의 교양 교과목 ‘공부에 대한 공부’ 개발 및 운영 사례
- 전공 연계 교양필수 영어 수업 만족 요인 학습자 인식 연구
- 역량 기반 교양강좌의 강의평가 분석 - <인성과 소통> 교과목을 중심으로
- 지역기반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생의 교육만족도 및 진로지원 인식 분석 - K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의 온·오프라인 수업환경에서 요구되는 교수자 커뮤니케이션 역량 체크리스트 개발
- 비교과 프로그램 경험에서의 자기성장 - G대학 상담심리 학부생 중심으로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 생활과 진로 탐색 교과목 개발 및 운영 효과 - 예술대학생을 대상으로
- 강의페어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융복합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교양교과 운영에서 익명 채팅 도구 활용의 효율성 및 요구 분석
- 예비 교사들의 ChatGPT와 연구윤리 인식에 대한 연구 - 사범대와 교육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 죽음교육을 위한 음악활용의 의의
- 교양교육연구 제18권 제6호 목차
참고문헌
- The Journal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 American Psychologist
-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Studies In The Humanities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Research on Writing
-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 The Society of Ewh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 Korea University Press
- The Journal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 Social Review Academy
- The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Research on Writing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Youkrackbooks
- Social Work Research
-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 Korean Linguistics
- Bakijeong
- In A. Bryant, & K. Charmaz (Eds.), Handbook of grounded theory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Rhetoric
- Seoul Women’s University Faculty of Liberal Education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