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 연계 글쓰기(Writing to Learn) 기반 대학 글쓰기 과제 연구 - A 대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60

영문명
Exploring Writing to Learn in University Assignments : A Case Study of University A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손다정(Dajung Son) 변현정(Hyunjung Byun) 서윤경(Younkyung Seo)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273~29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 연계 글쓰기(Writing to Learn) 유형 분류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A 대학의 교과별 글쓰기 과제 유형을 분석하여 대학에서 글쓰기가 학습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에서 2023년 1학기와 2학기에 개설된 모든 교과별 강좌의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와 두 차례의 전문가 타당화를 거쳐 학습 연계 글쓰기인 대학 글쓰기 과제의 유형을 ‘요약하기, 감상적 글쓰기, 설명적 글쓰기, 논증적 글쓰기, 창의적 탐구 글쓰기’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학기별, 단과대학별, 학년별, 이수 구분별, 수업 운영 유형별, 수업 방법별로 글쓰기 과제의 유형별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23년 개설 강좌 중 23%에서만이 글쓰기를 과제로 하고 있었으며, 다섯 가지 분류 유형 중 ‘감상적 글쓰기’ 유형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A 대학에서 학습 연계 글쓰기로 글쓰기 과제가 특정 유형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대면형을 제외한 기타 유형의 수업에서는 학습 연계 글쓰기가 거의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학생들의 학업 역량을 비롯한 사고력 향상을 위해 학습 연계 글쓰기로 글쓰기 과제를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types of Writing to Learn (WTL) and, based on this framework, analyze the writing assignments in various courses at University A to explore how writing is used as a tool for learning. To achieve this, writing assignments from all courses offer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3 at UniversityA were analyzed.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wo rounds of expert validation, five types of WTL assignments for university-level writing were classified as ‘Summarizing, Reflective Writing, Expository Writing, Argumentative Writing, and Creative Inquiry Writing’.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use of each type of writing assignment was analyzed according to semester, college, grade level, course completion type, class operation type, and teach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23% of the courses offered in 2023 included writing assignments, with ‘Reflective Writing’ being the most common among the five types. This study revealed that writing assignments at University A are predominantly focused on specific types of writing assignments within the context of Writing to Learn and that Writing to Learn is scarcely utilized in courses other than face-to-face classes. It is suggested that writing assignments using Writing to Learn should be more actively and effectively employed to enhance students’ academic abilitie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목차

1. 서론
2. 학습 연계 글쓰기로서 학술적 글쓰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와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다정(Dajung Son),변현정(Hyunjung Byun),서윤경(Younkyung Seo). (2024).학습 연계 글쓰기(Writing to Learn) 기반 대학 글쓰기 과제 연구 - A 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8 (6), 273-290

MLA

손다정(Dajung Son),변현정(Hyunjung Byun),서윤경(Younkyung Seo). "학습 연계 글쓰기(Writing to Learn) 기반 대학 글쓰기 과제 연구 - A 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8.6(2024): 273-2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