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요 재구를 통한 개요 중심 글쓰기 교육 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Study of Teaching Writing Focusing on Outlines through Outline Reconstruc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란(Ran L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259~27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요 재구 훈련을 통한 글의 구조와 논리 구성 능력을 신장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개요 작성 지도에 있어 하나의 대안을 제안함으로써 그 효과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요 지도에 관한 선행연구와 글쓰기 교재 4건을 분석해 개요 작성에 대하여 어떤 접근을 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모범글의 개요를 재구해 가는 과정을 논리적 글쓰기 수업의 일부로 포함시키고, 전체 개요에서 단락 개요로 옮겨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문단과 문단, 문장과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규정하면서 글을 읽거나 쓸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본고는 모범글의 분석 및 개요 재구에서 글의 수정과 재구성, 그리고 저자성 있는 개요와 글로 옮겨가는 개요 지도의 한 교육 모형을 제공함으로써 개요 재구가 글 전체 구조에 대한 감각 및 잉여성 없는 정확한 문장 쓰기 양측 모두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 연구의 가치는 개요 작성과 글쓰기의 연계성을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학습시키고 개요 구성과 글의 집필이 입체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임을 실천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주효한 개요 지도 모형을 제안한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a way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competence to form the text structure and logic of writing and to discuss the effects by presenting an alternative for outlining instruction. For this, it analysed several previous theses and four writing textbooks on outlining and critically examined what approaches they took on it. Based on this, it proposed a process in which the outline reconstruction of an example text was going on step by step from whole outline to paragraph outline, and it showed that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could be taught to read and write texts prescribing the relation between a paragraph and another paragraph and between a sentence and another sentence. Also, it stressed outline reconstruction can give a help in achieving a sense on not only the logical structure of whole texts but also precise sentence writing with no surplus by providing a model of outline instruction in which learners could move from correction and reconstruction in an example text into their own outlining and writings with authorship. The valu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orking outline instruction model that can help the learners efficiently learn the connectivity of outlining and writing and practically recognize that the process of outlining and writing together would be a tridimensional and circular one.

목차

1. 서론
2. 개요 쓰기에 관한 기존 연구와 논의
3. 글쓰기 교재에서의 개요설명
4. 개요 재구와 글의 논리적 흐름 분석의 예
5. 개요 작성 수업의 단계
6.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란(Ran Lee). (2024).개요 재구를 통한 개요 중심 글쓰기 교육 연구. 교양교육연구, 18 (6), 259-272

MLA

이란(Ran Lee). "개요 재구를 통한 개요 중심 글쓰기 교육 연구." 교양교육연구, 18.6(2024): 259-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