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의페어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융복합 교육의 쟁점과 과제

이용수 72

영문명
Issues and Challenges in Convergence Education Examined through Lecture Pairing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조혜경(Hye Kyung Cho)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537~54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융복합 교육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시행되는 강의페어링에서의 학문 활용 정도를 실제 D대학에서 시행되는 융복합 교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향후 학습자 중심의 융복합 교과목 설계와 운영에 있어서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필자는 2022년부터 2년간 강의페어링 공모전 수상작 64편을 분석하여 <빅컨셉+> 교과목의 대주제 이하 소주제에서 활용된 학문 단위와 학습자가 직접 선정한 전공 혹은 교양 교과목의 학문 단위 간의 융복합 양상을 고찰하고 동일 계열의 학문 단위 간의 융합과 서로 다른 계열의 학문 단위 간의 융합의 양상을 제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빅컨셉+> 교과목에서 다루는 자본주의라는 대주제에서 기존의 사회과학 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및 인문학, 예술학 관점 제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지역대학의 기초학문 전공학과가 폐과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기초학문을 원만히 공급하기 위해 주제 중심의 다학제적인 융복합 교과목 설계와 운영을 통해 학습자들이 강의페어링에서 자기주도적으로 기초학문 중심의 다학문적인 접근을 넘어 간학문적, 초학문적 접근의 융복합을 지향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xtent of academic utilization in lecture pairing, which is implemented as a method of convergence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convergence course operation implemented at D University, and to seek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learner-centered convergence courses in the future. The researcher analyzed 64 award-winning works of the lecture pairing contest for two years from 2022 to examine the convergence aspects between the academic units utilized in the major themes of the course and the academic units of major or liberal arts courses directly selected by the learners, and presented and analyzed the aspects of convergencebetween academic units of the same field and between academic units of different fields. Through this, it was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perspectives from not only existing social sciences but also natural sciences, humanities, and arts in the big concept of capitalism covered in the course. And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ere basic academic departments at local universities are being closed, it was argued that in order to smoothly supply basic academic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multidisciplinary, convergent courses centered on topics, so that learners can move beyo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centered on basic academics and pursue a convergent approach of interdisciplinary and supradisciplinary approaches through lecture pairing.

목차

1. 서론
2.수요자 중심 융복합 교육 설계의 쟁점
3. 강의페어링 분석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경(Hye Kyung Cho). (2024).강의페어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융복합 교육의 쟁점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18 (6), 537-548

MLA

조혜경(Hye Kyung Cho). "강의페어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융복합 교육의 쟁점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18.6(2024): 537-5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