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문이력서(Résumé)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이용수 27

영문명
The Impacts of the Flipped Learning-Based Extracurricular English Resume-Writing Course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선정(Sunjung L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329~34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혁신교수법인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문이력서 비교과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 효과와 학습자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비교과 프로그램의 다양한 모델 제시와 영문이력서 비교과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아울러 학생들의 글로벌 의사소통역량 함양과 진로·취업 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플립러닝 수업방식에 따라, 학생들은 영문이력서 작성방법 동영상 강의를 미리 시청하고, 교실 내 수업에서는 미리 학습한 내용을 적용·심화시키는 다양한 활동, 즉 동영상 강의내용에 대한 퀴즈, 주어진 채용공고에 지원하기 위한 영문이력서를 짝과 함께 작성하는 활동, 대학 졸업 무렵에 자신이 갖고 싶은 본인의 영문이력서를 작성하고 그룹별로 동료피드백을 주고 받는 활동, 학생-학생간/학생-교수간 질의응답 및 피드백 활동이 진행되었다. 사전-사후 영문이력서 작성과 사후 설문에 참여한 50명의 학생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영문이력서 작성 능력에 유의하고 높은 효과크기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영어권 문화와 의사소통방식에맞게 소통·활동할 수 있는 글로벌 의사소통역량 함양과 진로·취업 설계 및 정의적 측면(자신감, 참여도, 흥미, 자기주도적 학습 등)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동영상 강의의 교육내용, 수준, 시간과 분량, 교실 내 수업활동(퀴즈, 영문이력서 작성 짝 활동, 동료 피드백 그룹 활동, 학생-학생간/학생-교수간 질의응답 및 피드백 등)에 만족하였고, 플립러닝이 영문이력서 작성 학습에 효과적인 수업방식이며 향후에도 수강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영문이력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하나의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며,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했던 취업지원 분야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서 관련 문헌에 기여한다. 아울러 한국의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이 취약한 ‘구체적이고 수량화된 서술방식’으로 본인의 경력을 작성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다양한 활동의 강화, 인간적인 관계에 대한 염려없이 보다 객관적인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익명 피드백 적용 등의 학생들의 개선안은 향후 타 대학의 유사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flipped learning-based extracurricular English resume-writing program in order to suggest various models for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and to improve Korean EFL college students’ career planning as well a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global settings. Following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 the students watched a video lecture on writing effective resumes prior to the in-class activities. During the in-class activities, the students completed a quiz that test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video lecture, and then the students created a resume in pairs in response to a job advertisement with the support and feedback of the instructor. Each student also created the resume that they would like to have in four years’ time and provided and received feedback in a peer review session. The data from 50 participants who completed resum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 and post-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ogram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English resume-writing skills, increased their confidence, and offered opportunities for their career planning. Given that little research examining the effects of a resume-writing course has been carried ou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erms of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of its effectiveness and suggests a desirable model for an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 This study also offer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Korean EFL students in that including specific, quantifiable details in the experience section of a resume should be emphasized in future similar programs.

목차

1. 서론
2.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정(Sunjung Lee). (2024).플립러닝을 적용한 영문이력서(Résumé)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18 (6), 329-347

MLA

이선정(Sunjung Lee).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문이력서(Résumé)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18.6(2024): 329-3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