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공유대학의 전문대생을 위한 강원권 공동 교양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사례 연구

이용수 29

영문명
A Study of Joint Liberal Arts Curriculum Operation for College Students in the Shared University System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어성민(Seong Min Eo) 최지연(Ji Yeon Choi) 이희제(Hee Jae L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101~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공유대학의 전문대생을 위한 강원권 공동 교양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고, 지역 내 대학 간 공동 교양교육과정 운영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세 단계로 수행되었다. 먼저, 전문대생이 지역대학에 다니면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대생 16명과 교직원 3명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강원권 소재 대학의 공동 교양 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각 대학의 핵심역량을 조사·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유대학에서 개발한 공동 교양 교육과정을 이수한 전문대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이를 분석하였다. K공유대학의 공통교양 교과목은 수업의 다양성과 편의성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공동 교양교육 만족도와 지역 정주 및 지속 관계 의향 간에 정적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공유대학은 하나의 통합된 교육 플랫폼으로 지역 내 대학 간 교양교육의 교류를 촉진하며, 교양 교육과정의 대학 간 연계성을 높여 개별 대학 차원에서는 수행하기 어려운 새로운 교육적 가치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공유대학이 지역의 공동 교양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지역대학의 지역 역량 향상을 주도하고, 각 대학을 연결하는 허브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case of a joint liberal arts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Shared University syste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operating shared liberal arts curricula among regional universities. The research procedure was as follows: First,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16 college students and 3 faculty member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faced by college students in regional universities. Next, the core competencies and curricula of universities in the Gangwon reg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velop a joint liberal arts curriculum.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with 130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the joint liberal arts curriculum developed by the shared university system. The common liberal arts courses of Shared University were positively evaluated in terms of diversity and convenience of classes.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the desire to remain and form lasting ties in the region. The findings highlight how shared universities, as unified educational platforms, can facilitate the exchange of liberal arts education, enhance inter-university collaboration, and generate educational outcomes challenging to achieve by individual institutions alone. This suggests shared universities can significantly enhance regional education capabilities and act as a pivotal hub connecting various regional univers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열린책들 세계문학
  • 단말기_4월_북꽃축제(우측윙)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