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양교육정책의 역사적 한계와 질적 전환

이용수 51

영문명
The Historical Limitations and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General Education Polic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백승수(Seung Su Paek)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53~6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교양교육정책의 질적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탐구이다. 교양교육정책의 역사적 한계를 규명함으로써 정책 전환의 경험적 증거를 포착하고, 교양교육 고유의 특성과 발전 방향을 담은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정책을 제안함으로써 교양교육의 질적 개선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역대 정부는 법령적 규제, 제도적 개혁, 자율적 경쟁, 평가적 관리 등을 정책 도구로 활용하여, 법령, 제도, 사업, 평가 중심의 교양교육정책을 전개하여 왔다. 하지만 오늘날 교양교육은 법률적으로는 입법불비적 상황에 처해 있으며, 제도적으로는 존립마저 위태로운 지경에 처해 있다. 대학재정지원사업에서는 철저히 소외되었으며, 평가 중심 교양교육정책은 교양교육의 정상화와 내실화를 견인하지 못하고 있다. 교양교육에 관한 법률적, 제도적, 사업적, 평가적 한계를 극복하는 길이 곧 교양교육정책을 질적으로 전환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교양교육정책의 역사적 한계를 극복하고 질적인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어젠다를 시론적으로 탐구하였다. (가칭)교양교육진흥법 제정과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신설을 제안하고, 교양교육 전용 재정지원사업과 교양교육자율인증제의 도입을 촉구하였다. 교양교육정책의 질적 전환을 위한 토대적인 담론을 확산하고, 교양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사고 체계를 형성해 나가는 데 일조하기 위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limitations of general education policy and proposes strategies for its qualitative transformation. Successive governments have shaped these policies through legislation, institutional reforms, competitive mechanisms, and evaluative management. However, general education has been undermined by legal ambiguity, institutional marginalization, and exclusion from major funding initiatives. Moreover, evaluation-driven approaches have failed to normalize or internalize general education with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paper outlines a policy agenda aimed at fostering sustainable and independent development. Key proposals include enacting a “General Education Promotion Act,” establishing a National Liberal Arts College, introducing dedicated financial support programs, and implementing a voluntary accreditation system. These measures seek to realign policies with the unique goals of general education, ensuring its long-term quality and sustainabi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scourse on policy transformation by offer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rethinking general education policy in higher education.

목차

1. 서론
2. 교양교육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한계
3. 교양교육정책의 질적 전환을 위한 어젠다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승수(Seung Su Paek). (2024).교양교육정책의 역사적 한계와 질적 전환. 교양교육연구, 18 (6), 53-66

MLA

백승수(Seung Su Paek). "교양교육정책의 역사적 한계와 질적 전환." 교양교육연구, 18.6(2024): 5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