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tudent Engagement and Perceptions in College English Writing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이용수 4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복은임(Eunim Bok) 조영상(Youngsang Cho)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309~32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학술적 영어 글쓰기를 접목하여 진행된 대학 교양필수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참여 방식과 경험을 이해하고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2024년도 1학기 동안 총 47명의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 자료는 선다형, 리커트 5점 척도,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이중 정량적 데이터는 기술 통계를, 개방형 질문 답변은 주제 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많은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사회적 혹은 환경적 영역의 한 가지 SDG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자신이 평소 관심이 있거나 친숙한 주제를 선택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상호작용적 글쓰기 과정 보다는 개별적 글쓰기 과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SDGs 중심 글쓰기 활동 참여와 관련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SDGs에 기반한 대학 영어 작문 수업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은 작문 주제로서의 본질적 적절성과 교육적 가치 등을 이유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SDGs 중심의 글쓰기 활동은 인지적, 사회·정서적 영역에서 학습을 향상시키는데 유익하며, 특히 SDGs 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심화시키고 학술적 영어 글쓰기 경험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되었다. 반면, 사회·정서적 측면의 성장 및 학생들의 영어 글쓰기에 대한 흥미 증가는 인지적 측면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DGs에 기반한 학술적 영어 작문 교과를 개발, 운영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college students’ engagement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English academic writing classes and their perceptions of this integration. A total of 47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24. The primary data source was a survey questionnaire that included multiple-choice questions, five-Likert scale questions, and open-ended questions.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hile qualitative responses were examined through thematic analysis. The findings reveal that many students tended to focus on a single SDG within the social or environmental domain throughout the semester, generally selecting topics based on their interests and/or familiarity. They also placed greater value on the individual writing process compared to the interactive writing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areas where students’ engagement with the SDGs and related writing activities could be improved. Regarding their perceptions, most students viewed the integration of the SDGs as appropriate, emphasizing their relevance as writing topics and their educational value. SDG-focused writing activities were perceived as beneficial for enhancing students’ learning in both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domains, particularly by deepening thei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SDG-related issues and improving their experience with English academic writing. However, students reported relatively less growth in their social-emotional development compared to cognitive development and exhibited limited intrinsic interest in the SDGs and English academic writing.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re proposed for instructors seeking to integrate the SDGs into English academic writing classes.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Results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복은임(Eunim Bok),조영상(Youngsang Cho). (2024).Student Engagement and Perceptions in College English Writing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교양교육연구, 18 (6), 309-327

MLA

복은임(Eunim Bok),조영상(Youngsang Cho). "Student Engagement and Perceptions in College English Writing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교양교육연구, 18.6(2024): 309-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