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중단계 생애(multi-stage life) 관점에 기반한 인간 메타역량이 교양교육에 주는 시사점

이용수 41

영문명
Implications of Human Meta-Competencies for Liberal Education from a Multi-Stage Life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윤선응(Suneung Yun) 하지영(Jiyoung Ha)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6호, 153~16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수 시대와 기술 혁신 시대에 전통적인 순차적 생애 패러다임이 갖는 문제들을 제기하고, Lynda Gratton, Andrew Scott, Mauro F. Guillén이 제안한 다중단계 생애 접근을 설득력 있는 대안으로 소개한다. 다중단계 생애 접근은 인간의 삶이 교육-일-은퇴 또는 놀이-교육-일-은퇴의 뚜렷한 단계로 진행되고 각 단계가 특정 연령대와 연관된다는 경직된 시간 중심의 관점을 비판한다. 대신,이 접근은 개인이 자신의 선호와 여건에 따라 사려 깊은 선택을 통해 언제든 새로운 단계를 창출하거나 교육, 일, 퇴직, 여가 등을 역동적으로 재배열하고 조합함으로써 유연하고 개성 있는 삶의 경로를 만들어갈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본 연구는 다중단계의 삶에서 평생 동안 자신의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충분히 발휘하며 진정한 자신에 더 가깝게 도달하는 이상적인 개인을 ‘퍼레니얼(perennial)’로 개념화하고, 퍼레니얼이 가진 메타역량을 ‘선택력’, ‘변형력’, ‘초문화력’으로 범주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틀 내에서 인간의 인간다움을 고양하는 데 있어 대학 교양교육의 미래지향적 역할 및 발전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ques the traditional sequential life paradigm in an era marked by longev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troduces the multi-stage life approach, as proposed by Lynda Gratton, Andrew Scott, and Mauro F. Guillén, as a compelling alternative. The multi-stage life approach challenges the rigid, time-bound notion that life progresses in distinct phases—education, work, and retirement, or play, education, work, and retirement—each tied to specific age groups. Instead, it advocates for a more flexible and personalized trajectory, where individuals can, through deliberate choices, create new stages or dynamically rearrange and combine education, work, retirement, and leisure to shape a life that aligns with their preferences and circumstances. Based on this model, this study further conceptualizes the ideal individual as the ‘Perennial’—someone who continuously unlocks and expresses their potential across the lifespan. The Perennial’s meta-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to ‘decision-making competence’, ‘transformative competence’, and ‘transcultural competence’. Within this framework, the study provides forward-looking insights into the evolving role and developmental imperatives of liberal education in nurturing human dignity.

목차

1. 서론
2. 다중단계 생애 관점: 개념, 특징, 기대효과
3. 다중단계 삶에서의 인간상과 메타역량
4. 대학 교양교육의 역할 및 발전방향 - 다중단계 삶의 멀티제너레이션 사회를 조망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선응(Suneung Yun),하지영(Jiyoung Ha). (2024).다중단계 생애(multi-stage life) 관점에 기반한 인간 메타역량이 교양교육에 주는 시사점. 교양교육연구, 18 (6), 153-166

MLA

윤선응(Suneung Yun),하지영(Jiyoung Ha). "다중단계 생애(multi-stage life) 관점에 기반한 인간 메타역량이 교양교육에 주는 시사점." 교양교육연구, 18.6(2024): 153-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