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76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minimalist expression attributes in package design on consumers' emotional percep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한민민(Min Min Han) 오용균(Yong Kyun Oh)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633~6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치열한 시장 경쟁 속에서 제품의 패키지디자인은 기업이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패키지디자인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현은 소비자의 감성적 공감을 일으키고 소비를 유도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중 미니멀리즘 디자인 표현은 이미지나 사물을 기본적인 구조로 표현하고 즉시 형태의 본질을 인식시키고 강조하고 최소화하여 더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유희적 기능을 습득하고 수행함으로써 감정의 자율성을 느끼게 하는 형태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패키지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선행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미니멀리즘의 표현 속성을 조형적 요소로서 '단순성, 명료성', 의미적 요소로서 '상징성, 환경성'으로 요약함과 동시에, 소비자 PAD 3차원 감정 모델에 따라, 감성 지각의 종속 변수를 '쾌락성, 각성성, 지배성'으로 설정하였다. 설문 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미니멀리즘에서 명료성 표현 속성은 소비자의 쾌락성, 각성성, 지배성에 모두 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환경성의 사용은 소비자의 각성성과 지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성과 상징성은 소비자의 관심을 자극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소비자의 각성성과 지배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 연구는 일정한 정도로 패키지디자인에서의 미니멀리즘 표현에 대한 연구 공백을 채우고 있고 검증함으로써 PAD 소비자 감정 3차원 모델연구를 보다 풍부하게 하고, 미니멀리즘의 표현 속성을 새로운 시각에서 탐구하였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 fierce market competition, product package design is one of the important means for companies to gain market share. Various expressions used in package design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emotional sympathy among consumers and encouraging consumption. Among them, minimalist design expression expresses images or objects with a basic structure, immediately recognizes the essence of the form, emphasizes, and minimizes it,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and accept. Furthermore, it enables form recognition that allows one to feel emotional autonomy by acquiring and performing playful function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studying the impact of minimalist expression attributes in package design on consumers' emotional perception.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case analysis, the expressive properties of minimalism are summarized as 'simplicity and clarity' as formative elements and 'symbolism and environmentality' as semantic elements, an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consumer PAD three-dimensional emotional model, emotional percept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minimalism, the attributes of clarity expression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environment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rousal and dominance. It should be noted that simplicity and symbolism play a positive role in stimulating consumer interest, but their impact on consumer arousal and dominance is not significant. This study fills in and verifies the research gap on minimalist expression in package design to a certain extent, making the study of a PAD consumer emotion 3D model richer and exploring the expression attributes of minimalism from a new perspectiv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패키지디자인 사례 분석
4. 조사설계
5. 분석결과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