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61
- 영문명
-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Book Design Visualization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장환영(Huan Ying Zhang) 왕운호(Yun Hu 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595~60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증강현실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새로운 시대의 발전에 맞춰, 전통적인 디자인 형태도 혁신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AR 기술을 통합하여, 북 디자인 시각화를 구현하는 것이며, AR 기술이 어떻게 북 디자인을 시각화하고 새로운 형태의 북 디자인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소비자에게 새로운 감성적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사례분석, 실증분석, 설문 조사를 통해, 북 디자인 시각화에서 AR 증강현실 기술이 직면한 과제를 찾아내고, AR 기술 및 북 디자인 시각화 연구 모델을 구축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설문 조사와 PSSUQ 사용성 척도를 이용하여, 결과를 평가하고 검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AR 기술을 기반으로 한, 북 디자인 시각화 시스템은 현재 북 디자인이 직면하고 있는 한계를 깨고, 소비자의 단일독서 형태를 바꾸고, 더 많은 소비자의 독서 참여 및 국민 독서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이너의 혁신적인 디자인 컨셉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풍부하고 다차원적인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개발의 새로운 트렌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integrated media, augmented reality(AR) has been applied in many fields, and has put forward innovative requirements for traditional design forms. The research goal of this paper is to integrate AR technology to realize the visualization of book design, provide new possibilities for new forms of book design, create emotional resonance for consumers, and have certain reference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book desig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First, this paper uses literature analysis, case analysis, empirical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s to give a relevant overview of AR technology and book design visualization, analyze its research status and application cases. Secondly, using the model hypothesis method, a research model of AR technology and book design visualization was constructed, and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was analyzed. Finally, the results were evaluated and verified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PSSUQ usability scal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study. First, AR technology can break through the limitations of book design, prompt consumers to change from passive reading to active interaction, broaden the reading perspective, attract more participants, and increase the reading rate. Second, establishing a book design visualization system model with AR technology will have important significance and role, and the model will provide reference value for designers' innovative design concepts. Bring consumers a rich and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experience and adapt to new trends in future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AR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북 디자인의 시각화에 대한 고찰
3. AR 증강현실 북 디자인 시각화 모델 구축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