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9
- 영문명
- Mobile Cosmetics App Utilization and Consumer's The Effect of Purchase Behavior on Purchas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정민(JungMin Lee) 안은재(EunJae A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339~3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모바일 환경이 새로운 뷰티 관련 정보를 빠르게 흡수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화장품 앱의 정보는 여성의 개성과 아름다운 외형적 형상 및 삶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모바일 화장품 앱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화장품 앱의 활용현황과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설문지법을 통한 실증분석으로 실행하였다. 선행연구, 학회지, 보고서 및 발표자료 등을 수집·분석하여 화장품시장의 특징과 현황을 파악하고 모바일 화장품 앱을 통한 화장품 구매행동을 분석하였다. 앱을 통한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행동과 만족도 및 화장품 앱 활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바일 화장품 앱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집단은 20대 회사원이며, 화장품 앱 선호도는 상품정보가 풍부한 올리브영으로 그 이유는 20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잘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50대 주부는 앱보다는 오프라인을 더 많이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에 익숙한 20대가 스마트폰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50대에 비해 모바일 화장품 앱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바일 화장품 앱을 통한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메이크업 정보습득과 간편한 구입경로가 구매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While the mobile environment is rapidly absorbing new beauty-relat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mobile cosmetics apps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women's personality, beautiful appearance, and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cosmetics apps from this point of view, and through this, the effect of cosmetics apps' utilization status and cosmetics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n purchase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questionnaire method. Previous studies, academic journals, reports, and presentatio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the cosmetics market, and cosmetics purchase behavior through mobile cosmetics apps was analyze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smetics purchase behavior, satisfaction, and usage status of cosmetics apps by consumers through the ap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group that uses mobile cosmetics apps the most is office workers under their 20s, and the preference for cosmetics apps is Olive Young, which is rich in product information, because it is well suited to the lifestyle of the 20s. Housewives in their 50s used offline more than app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people in their 20s who are familiar with smartphones use mobile cosmetics apps more than those in their 50s who have difficulty using smartphon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mobile cosmetics apps, acquisition of makeup information and easy purchase channels were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purchase satisfac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소비자의 구매행동
4. 연구설계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