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219
- 영문명
- Exploring the Potential of Collaborative Processes in Product Design throug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오세빈(Sevin Oh) 송상민(Sangmin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573~58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성형 인공지능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대부분의 산업 분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제품디자인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고 이를 프로세스에 접목해 보았다. 제품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의 활용을 통하여 기존의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의 차이에 대해서 발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해당 연구를 통하여 제품디자인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앞으로 제품디자인에서 그것의 활용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인간의 디자인 영역과 AI의 디자인 영역으로 나누어 생각해 보았다. 단순히 여러 가지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보여주는 인공지능의 영역과 키워드와 디자인을 결정하고 이를 구체화 시키는 인간의 영역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를 실험해 본 결과 과정에서 중요한 순간에 디자인 결정권에 있어 아직 디자인을 선별하는 디자이너의 능력과 안목이 중요하였다. 그리고 생성형 AI의 활용에 있어 질문을 통한 프롬프트를 잘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언어는 인간이 쌓아온 지식의 결집이자 가장 기본적인 표현수단이다. 결국, 사용자가 학습한 해당 분야의 ‘지식 정도’, 혹은 인공지능의 학습에서 지식을 끌어낼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인공지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가름될 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 전 영역에 걸쳐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디자인 방식과 병합되어 발전된 형식의 디자인 방법으로 나타날 것이다.
영문 초록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most industries are entering a new phase. Generative AI is being utilized across a wide range of fields, including design. Consequently,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tion of AI in the product design field and integrated it into the design process. The goal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product design processes and those enhanced by AI. Through this research, the potential of AI in product design was confirmed, and future methods of its application were investigated. First, the study considered the domains of human and AI design separately. AI's role was seen as generating and displaying various images, while humans decided on keywords and concrete designs. Next,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at crucial moments in the design process, the designer’s ability and judgment in selecting designs remained important. Additionally, the effective use of prompts through questions became crucial in applying generative AI. Language, as the culmination of human knowledge and the most fundamental means of expression, plays a critical role. Ultimately,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AI usage will depend on the user's level of knowledge in the respective field or their ability to extract knowledge from AI learning. As AI technology advances, paradigms across all industries are shifting. This phenomenon will merge with traditional design methods, resulting in an evolved form of design approa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