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5
- 영문명
- The Impact of Expression Type of E-commerce Platform Product Photos on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focusing on Skincare and Makeup Cosmetic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해민(Hae Min Kim) 김태완(Tai W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2(통권 31권), 552~562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화장품 산업의 상세페이지에 사용되는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제품 유형, 기능 유형, 소구 유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는 2(제품 유형: 기초 vs. 색조) × 2(기능 유형: 스틸vs. 모션) × 2(소구 유형: 이성 vs. 감성) 설계를 기반으로 네이버 쇼핑에서 대표 제품을 선정하여 8개의 실험 자극물을 제작하였다. 설문 조사는 20대 이상 국내 여성을 대상으로 2024년 5월 2일부터 6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44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모션 그래픽이 스틸 이미지보다, 감성 소구가 이성 소구보다 더 높은 광고 태도를 유발하였다. 이는 상품 이미지의 동적 요소가 소비자에게 강력한 인상을 남기고, 감성적 소구가 감정적 반응을 유도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시킴을 의미한다. 반면, 제품 유형에 따른 광고 태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제품 유형, 기능 유형, 소구 유형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화장품 산업에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할 때 동적 요소와 감성적 소구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비자 그룹을 대상으로 결과의 일반화를 도모하고, 응답자의 구매 성향, 피부 특성, 나이 등의 변수를 고려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xpression methods in product images used on detailed pages in the cosmetics industry on e-commerce platforms, focusing on product type, function type, and appeal type, on advertising attitudes. The study employed a 2(product type: skincare vs. makeup) × 2(function type: still vs. motion) × 2(appeal type: rational vs. emotional) design, selecting representative products from Naver Shopping to create eight experimental stimuli. A survey was conducted with women aged 20 and older in South Korea from May 2 to 6, 2024, and a total of 4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tion graphics induced higher advertising attitudes compared to still images, and emotional appeals led to higher advertising attitudes than rational appeals. This implies that dynamic elements in product images create a stronger impression on consumers, and emotional appeals enhance advertising effectiveness by evoking emotional respons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rtising attitudes based on product type, nor were th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roduct type, function type, and appeal typ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ynamic images and emotional appeals in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cosmetics industry. Future research should aim to generalize these results across diverse consumer groups and consider variables such as purchasing tendencies, skin characteristics, and age for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Further research in other industries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if similar marketing elements yield consistent effec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AI 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을 활용한연안 지역의CPTED 수요 분석
-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